14TH BEYOND HUMANISM CONFERENCE 참가 조사

이미 공지 드렸듯이 이번 7월 2-5일에 폴란드 우치(Lodz)에서 포스트휴먼 관련 학회인14TH BEYOND HUMANISM CONFERENCE 가 개최됩니다. 현재 4명 정도의 국내 학자가 참석할 예정인데, 혹시 참가 의향이 있는 분이 더 계시면 서로 정보를 공유하고 독립적인 세션을 꾸릴 가능성도 확인하고자 합니다. 혹시 참가 의향이 있으면 이번 토요일(3/23)까지 posthuman.or.kr@gmail.com 으로 메일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현재 CFP가 진행 중이며 3월말 마감 예정입니다. 학회에 관한 자세한 정보는 http://beyondhumanism.org/ 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가톨릭대학교 인간학연구소 등재학술지 논문 투고 안내

인간학연구소에서는 매년 3회 등재학술지 <인간연구>를 발간하고 있습니다.

<인간연구>는 철학, 문학, 교육학, 심리학, 과학 등 여러 학문 분야의 연구를 포괄하는 학제 간 연구 학술지입니다.

이번 4월에 발간되는 <인간연구>에서 “포스트휴먼 시대의 사회정의“라는 주제의 특집논문을 모집하고자 합니다.

제목 : 가톨릭대학교 인간학연구소 등재학술지 <인간연구> 제52호 특집논문 모집

주제 : 포스트휴먼 시대의 사회정의

투고마감일 : 2024년 3월 24일 (일)

발간 예정일 : 2024년 4월 30일(화)


[투고 자격]

ㅇ 학회 정회원

* JAMS내 온라인 회원 가입 후 가입비와 연회비 각 30,000원을 심사 개시 전까지 납부하여야 합니다.

* 평생회원은 정회원과 동등한 자격을 가지며 가입비는 면제되고 평생회원비 300,000원을 납부하여야 합니다.

* 계좌번호 : 우리은행 1005-703-291868, 예금주: 가톨릭대(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투고 방법]

1) 인간학연구소 홈페이지 https://cukire.jams.or.kr 제출

2) 제출 서류

① 연구 논문: 제공된 양식에 따라 30매 이내로 작성하여 저자 정보 삭제 후 제출

② 유사도 검사 결과 : https://check.kci.go.kr/ 에서 검사 시행 후 JAMS내 파일 탑재

③ 연구윤리준수확약 및 저작권이양동의서: 제공된 양식에 작성하여 JAMS내 파일 탑재

* 특수관계인과의 공저 논문의 경우 <특수관계인과의 논문 공저 사전 공개 및 동의서>를 제공된 양식에 따라 작성 후 이메일로 별도 제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3) 기타

ㅇ 『인간연구』 제52호는 일반논문 외에 특집논문을 모집합니다. 주제는 “포스트휴먼 시대의 사회정의”입니다. 연구자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투고를 부탁드립니다. 특집논문 게재도 일반논문과 동일한 투고 규정과 심사절차에 따라 진행됩니다.

ㅇ 『인간연구』는 연구논문 이외에 서평을 별도로 모집하고 있습니다. 아래의 항목을 이메일 (cukire@catholic.ac.kr)로 제출하시면 됩니다.

① 원고: 제공된 양식에 따라 10매 내외 작성

② 『인간연구』 투고자 인적사항 : 제공된 양식에 작성

③ 연구윤리준수확약 및 저작권이양동의서: 제공된 양식에 작성

* 서평의 경우 정규논문으로 인정되지는 않으나 소정의 원고료 20만원을 지급하오니 인간 연구 분야의 발전을 위하여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심사료 및 게재료]

ㅇ [심사료] 일반논문 60,000원 / 긴급투고 논문 120,000원

ㅇ [게재료] 일반논문 150,000원 / 연구비 지원 논문 300,000원 / 긴급투고 논문 400,000원

* 30매를 초과한 경우 매당 10,000원의 초과 게재료를 납부하여야 합니다.

* 계좌번호 : 우리은행 1005-703-291868, 예금주: 가톨릭대(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문의]

ㅇ [문의처] 인간학연구소

– Tel. 02-2164-4654

– E-Mail. cukire@catholic.ac.kr

– 홈페이지: http://cukire.catholic.ac.kr/

14TH BEYOND HUMANISM CONFERENCE

2024 14TH BEYOND HUMANISM CONFERENCE

14회 Beyond Humanism Conference가 이번 7월 초에 폴란드 우치(Łódź)에서 열립니다. 폴란드는 물가가 싸서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외국 학회에 참석할 좋은 기회입니다. 많은 분들의 관심을 부탁합니다. http://beyondhumanism.org/


Technologies-Ecologies and the Networks of Posthuman Care

Posthumanities Research Centre
Faculty of Philology
University of Lodz
2-5 July 2024

CONFIRMED KEYNOTES:

ANNE ALOMBERT
https://llcp.univ-paris8.fr/anne-alombert-mcf

FABIENNE BRUGÈRE
https://philosophie.univ-paris8.fr/fabienne-brugere

EDUARDO KAC
https://www.ekac.org

RYSZARD KLUSZCZYŃSKI
https://www.uni.lodz.pl/pracownicy/ryszard-kluszczynski


The images and narratives of crises have dominated the socio-cultural sphere over the last couple of years, often anaesthetizing our senses and creating a further sense of impasse. As Bernard Stiegler asserts, these perplexing conditions require finding out how “to think and care otherwise, that is, to change the very meaning of thinking” (2018: 237). For the philosopher, to think means “to take care, to care for, which is also to say, to act, to do, to make – (the) différance: it would always be to think the wound” (2018: 215). Thus, thinking with care implies taking actions to heighten our responsiveness to the challenges the Anthropocene poses. When discussing Heidegger, Yuk Hui observes that “being-in-the-world is nothing but the question of care (Sorge), or temporality” (2016: 227). Hui observes that, for Heidegger, Sorge constituted a “primordial form of existence” (2016: 246). Derived from Besorgen and linked with Fürsorge, care renders ways of being in the world and interacting with others (Hui, 2016: 246, 274). Referring to Haraway’s claim (2016: 4) that “we become-with each other or not all,” Amelia deFalco in Curious Kin in Fictions of Posthuman Care argues that “[i]f relating produces being, who and what we relate to, care for, and are cared for by has profound consequences” (2023: 5). What is more, deFalco rightly indicates how the narratives of exclusion are interconnected with being regarded as care-capable and care-worthy (2023: 5). Likewise, Maria Puig de la Bellacasa points out that processes of thinking and knowing, which are inherently intertwined with a multitude of relations, encompass care. In her view,  care is thus relational (2012: 198), as acts of care compel us to nurture the relational character of our more-than-human lives. The acknowledgement of our entangled, differential, interconnected lives activates a collaborative spirit of compassion and care to produce ethical actions and practices to shape our posthuman futures. Rosi Braidotiti, in her latest monograph, Posthuman Feminism, urges us that “[w]e need to work together to reconstruct our shared understanding of possible posthuman futures that will include solidarity, care and compassion” (2022: 8). In her 2018 Nobel Lecture, Olga Tokarczuk writes: “Tenderness is spontaneous and disinterested; it goes far beyond empathetic fellow feeling…. It is a way of looking that shows the world as being alive, living, interconnected, cooperating with, and codependent on itself.” For her, “tenderness is deep, emotional concern about another being,” “human and beyond human,” in general, it is an attitude, action, physical sensation realised, among others, via touch, for instance, in relation to technology (Malinowska 2022: 44). Tenderness permeates all the boundaries of digital and biological, living and non-organic, beyond time and human. It is a click that animates pixels and atoms of water that run through more-than-human beings. In other words, the capacity for care lies in more-than-human milieux if we wish to develop novel, inclusive ways of thinking and writing. It induces the renewal of current forms of planetary co-existence responsible for reproducing enduring patterns of human-induced inequalities and global power imbalances.

In Art and Cosmotechnics, Hui recalls Smith’s claim (2019) that machines entangled in their actions with the world exhibit a form of care by their attempt to “engage and modify it” (2021: 241). On a simple level, care tends to be discussed more in terms of providing than exhibiting. If we assume that care is the category whose importance is recognised in both humanities and sciences, maybe we should think of care and AI beyond care robots, in other words, beyond what machines can do for humans? To what extent can the category of care apply to developing neural networks? The conference wishes to explore how care is implicated in trans-, meta-, post- human philosophies. Sorgner explains that “metahumanism strives to mediate among the most diverse philosophical discourses in the interest of letting the appropriate meaning of relationality, perspective, and radical plurality emerge” (2021: 41). Bearing the “radical plurality” in mind, the conference seeks to study how these philosophies approach diverse forms of organic and non-organic embodiments, raising new ethical, legal and biotechnological dilemmas.

The conference is devoted to the reconceptualization of the posthuman condition brought about by the care turn. We invite you to consider how to invent/create networks of care that could bring hopeful scenarios of endurance and reconstruction of the planetary mayhem.

The papers should address the general theme of the conference. Possible topics may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 Posthuman collective networks of care;
  • Posthuman care and ageing;
  • Posthuman care and climate crisis,
  • Posthuman care and technologies of intimacy;
  • Posthuman care and feminisms;
  • Posthuman care and ethics;
  • Posthuman care and digital practices;
  • Posthuman care and the Anthropocene;
  • Posthuman care and the social media;
  • Posthuman care and New Materialisms;
  • Posthuman care and NGOs and volunteering;
  • Posthuman care and LGBTQ+ communities;
  • Posthuman care and disability studies;
  • Posthuman care and more-than-human knowledge production;
  • Posthuman care and Indigenous studies;
  • Posthuman care and non-western knowledge production,
  • Posthuman care and performativity;
  • Posthuman care and aesthetics;
  • Posthuman care and artistic practices;
  • Posthuman care  and tender narratives and poetics;
  • Posthuman care and technoscientific experimentation;
  • Posthuman care and multiple forms of fabulation;
  • Posthuman care and speculative genre voices;

Submission guidelines

We invite paper proposals including a title, an abstract of 350 words, name and affiliation of the author, as well as a short bio with contact information. Applications together with a short bio-bibliographical note should be submitted in English and in PDF format on easychair.org before  the 31st of March

https://easychair.org/conferences/?conf=bhc14

Deadlines

Abstracts should be received by the 31st of March 2024.
Acceptance notifications will be sent out by mid-April 2024.
All those accepted will receive information on the venue(s), local attractions, accommodations, restaurants, and planned events for participants.

Presentations should be no longer than 20 minutes. Each presenter will be given 10 additional minutes for questions and discussions with the audience.

Conference fees

100 euros (early bird until the end of April)
140 euros (a regular fee)
80 euros (PhD students)

ORGANISING COMMITTEE:

Stefan Sorgner
Evi Sampanikou 
Sangkyu Shin
Aranaud Regnauld 
Jan Stasieńko
Tomasz Dobrogoszcz (hosting the event)
Katarzyna Ostalska (hosting the event)
Justyna Stępień (hosting the event)

한국포스트휴먼연구회·한국철학사상연구회 연합학술대회

이번 토요일에 열리는 연합 학술대회 개최를 다시 한번 상기시켜드립니다. 많은 분들의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학술대회의 자료집은 “온라인 자료실”에서 다운로드 받으실 수 있습니다.)

※ 주제: 포스트휴먼과 신유물론 – 물질도시

※ 주최: 한국포스트휴먼연구회, 한국철학사상연구회, 서울시립대 도시인문학연구소, 숙명여대 인문학연구소 HK+사업단, 중앙대학교 인문콘텐츠 연구소

※ 주관: 성균관대학교 교양기초교육연구소

※ 날짜: 2023년 12월 9일(토) 11:00 – 18:00

※ 장소: 성균관대학교 퇴계인문관 308호 (31308)

심포지엄: 인공지능과 인권

사단법인 올이 법무법인(유) 원 및 여성신문사와 공동으로 “인공지능과 인권”을
주제로 한 하반기 심포지엄을 개최합니다.

일시 : 2023. 12. 4. 월요일 14:00 – 17:20

장소 : 모두의 연구소 강남캠퍼스(서울 강남구 강남대로 324, 역삼디오슈페리움 2층)

참가신청링크 : https://docs.google.com/forms/d/16euzdTrGe28txV4oWylYaFhlkeREFhXNbgnPZpGdqhM/edit?usp=forms_home&ths=true

공동주최 : 사단법인 올, 법무법인(유) 원, 여성신문

참가비: 무료

문의 : 상임변호사 김보미 bmkim@onelawpartners.com 02-3019-214

캐리 울프 교수 초청 강연 

The Dreams of Sympoiesis

일시: 11월 29일 수요일 4시 반

장소: 서울대학교 신양인문관 국제회의실 302호

캐리 울프(Cary Wolfe)는 라이스대학교 영문과 교수이다. 대표 저서로는 Animal Rites: American Culture, The Discourse of Species, and Posthumanist Theory(시카고, 2003), What Is Posthumanism?(미네소타, 2010), Before the Law: Humans and Other Animals in a Biopolitical Frame (시카고, 2012), Art and Posthumanism: Essays, Encounters, Conversations (미네소타, 2021) 등이 있다. 2007년에 미네소타 대학 출판부에서 포스트휴머니티 시리즈를 시작하여 현재까지 도나 해러웨이, 이자벨 스텡거스, 미셸 세레스, 빌렘 플루서, 자크 데리다 등 저명한 저자들의 책을 65권 이상 출간했다.

한국포스트휴먼연구회·한국철학사상연구회 연합학술대회

※ 주제: 포스트휴먼과 신유물론 물질, , 도시

※ 주최: 한국포스트휴먼연구회, 한국철학사상연구회, 서울시립대 도시인문학연구소, 숙명여대 인문학연구소 HK+사업단, 중앙대학교 인문콘텐츠 연구소

※ 주관: 성균관대학교 교양기초교육연구소

※ 날짜: 2023년 12월 9일(토) 11:00 – 18:00

※ 장소: 성균관대학교 퇴계인문관 308호 (31308)

개회 – 사회: 현남숙(성균관대)
개회사11:00 – 11:05김종갑(한국포스트휴먼연구회 회장·건국대)
축사11:05 – 11:10박정하(한국철학사상연구회 회장·성균관대)
1부: 신유물론과 물질에 대한 논쟁 – 좌장: 김재희(을지대)
발표111:10 – 11:40문규민(중앙대) ‘물질은 어떻게 발견되는가? – 역설적 발견법으로서의 의인화와 경험적으로 열린 물질’
발표211:40 – 12:10박준영(수유너머104) ‘신유물론의 물질 개념과 들뢰즈의 존재론’
질문 및 토론12:10 – 12:30 
12:30 – 13:30 점심 식사
2부: 기조발제 – 사회 : 하인혜(인천대)
기조발제113:30 – 14:10최종덕(독립연구자) ‘얽힘과 접촉’
기조발제214:10 – 14:50박인찬(숙명여대) ‘위기인가 기회인가: 포스트휴머니즘의 곤경과 신유물론 정치의 가능성’
14:50 – 15:00 휴식시간
3부: 신유물론과 물질과 몸 – 좌장: 이승준(생태적지혜연구소)
발표115:00 – 15:30서영화(서울대) ‘물질과 시간의 미결정성, 그리고 애도의 윤리’
발표215:30 – 16:00정유진(서강대) ‘몸의 물질화와 수행성’
질문 및 토론16:00 – 16:20 
16:20 – 16:30 휴식시간
4부: 신유물론과 디지털도시화 – 좌장: 이지영(이화여대)
발표116:30 – 17:00심혜련(전북대) ‘확장된 도시와 혼종화된 몸’
발표217:00 – 17:30이현재(서울시립대) ‘디지털 도시화와 탈/재물질화’
질문 및 토론17:30 – 17:50 
폐회사17:50신희권(서울시립대 도시인문학연구소 소장)

The Posthuman, the Human, and the Non-Human: New Narratives and Critical Perspectives in Korean Studies

Upcoming Meeting

2023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See the full conference program here)

* KLA 회원에게는 온라인 참여를 위한 zoom 링크가 제공됩니다.

학술대회: 생성인공지능의 시대, 인공지능과 인간 가치의 공존을 위한 모색

  • 일시: 2023년 10월 28일(토) 오후 2시-6시
  • 장소: 이화여대 ECC 144 (온라인: https://ewha.zoom.us/j/83496984811)
  • 주관: 2023 경제인문사회연구회 AI윤리 인문정책 연구과제팀
  • 공동주최: 한국포스트휴먼연구회, 서울대 AI연구원 인공지능 ELSI 센터, 이화여대 포스트휴먼융합인문학 협동과정

ChatGPT 등 생성인공지능으로 인해 가속화되고 있는 디지털 대전환의 시대에, 인간의 가치를 바탕으로 인공지능 기술이 개발되고 활용되기 위한 인공지능 윤리의 정립 및 실행이 시급해 보입니다. 인공지능 기술의 혁신은 사회 변화를 촉진하되 강제하지 않아야 하고, 사회는 인간의 가치 증진에 봉사하도록 기술 변화를 유도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를 위해, 생성인공지능 기술의 발전과정과 작동 방식에 관해 논의하고, 연구, 교육, 창작, 노동, 환경에 미치는 영향과 그것의 현실적, 잠재적 위험을 분석하면서, 신뢰성, 안정성, 투명성과 해명가능성, 편향과 차별 방지, 자율성, 지속가능성 등을 담보하는 정책적, 제도적 방안을 모색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생성인공지능 기술로 인한 긍정적 사회 변화의 가능성을 부정하지 않으면서도, 그것이 야기할 위험을 완화할 수 있는 대비책을 모색하여, 인간 가치와 기술 혁신을 함께 증진할 수 있는 AI 윤리 정책의 정립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비인간 AI 의존성: ChatGPT와 창의적 인간의 한계 (ChatGPT와 포스트휴머니즘 연속 콜로키움)

초거대 AI가 활황이다. AI의 역사가 80년을 넘지만, 일상에서 그것을 매일 실감하면서 인간 존재에 위협을 느끼게 된 것은 최근의 일인 듯하다. 인간에게 그런 위협은 불안과 분노, 그리고 혐오를 낳는다. 그러나 AI를 사용하지 말자고 하기보다는 그것을 잘 사용하자는 목소리가 더 크게 들려온다. 근대인들은 타자 의존성을 인간의 취약성으로 보았지만, 점점 기울어가는 우리의 AI 의존성을 좀 더 상세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

비슷한 현상 문화와 예술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AI가 창작에 더 손쉽게 활용되는가 하면, 예술 행위를 대리하는 실험도 속속 등장하고 있다. 창의적 능력과 행위에서 가장 인간다운 모습을 발견할 수 있다고 믿어온 전통적인 신념이 시험대에 오르고 있다. 우리는 전문가를 모시고 초거대 AI 시대에 이러한 쟁점들을 폭넓게 논의하고자 한다.

제목 : 비인간 AI 의존성–ChatGPT와 창의적 인간의 한계

일시 : 2023년 10월 13일(금) 14:00~16:30
장소 : 숙명여자대학교 르네상스관 403호
온라인 주소(줌): https://sookmyung-ac-kr.zoom.us/j/81738128632?pwd=qfGNVy8mxylgPXj8KTf5pyWG7oVz17.1 (회의 ID: 817 3812 86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