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보관물: 공공성

2025년 정기 봄 학술대회: AI, 민주주의와 공공성

2024년 12월 3일 계엄령으로 시작해 2025년 4월 4일 파면 선고로 마무리된 탄핵 정국과 아직 완료되지 않은 내란 정국은 우리에게 민주주의와 공공성에 대해 새롭게 고민할 것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정치적 극단주의의 성장과 혐오 발언의 확산은 물론이고 민주주의와 공공성을 회복시킨 운동 역시 자동화된 알고리즘과 플랫폼의 도움을 받고 있습니다. 도처에서 활용되는 AI의 급격한 발전은 이제 포스트휴먼 담론이 갖는 정치성에 대한 시의성 있는 논의를 요구합니다. 포스트휴머니즘 이론의 저변이 확장되어가는 현시점에 한국포스트휴먼연구회와 한국포스트휴먼학회는 2025년 봄 정기학술대회를 통해 인공지능 시대, 민주주의와 공공성의 미래를 고찰하는 논의의 장을 마련하였습니다. 많은 참여와 관심 부탁드립니다.
 

일시: 2025년 5월 24일(토) 14:00-18:00

장소: 동국대 서울캠퍼스 문화관 1층 덕암세미나실(K147)

주최 및 주관: 한국포스트휴먼연구회, 한국포스트휴먼학회

공동주최: 과학기술과 사회네트워크, 경남대 교양교육연구소, 동국대 철학과 및 동서사상연구소,서울대학교 과학기술과미래연구센터, 이화여대 이화인문과학원, 이화여대 포스트휴먼융합인문학 협동과정

후원: 한국연구재단, 한국IBM, (추가 가능)


1부 14:00-15:50(인사말 10분, 발표 각 30분, 토론 20분)

사회: 정성훈(인천대)

14:00-14:10: 인사말(홍성욱(한국포스트휴먼연구회장), 정원섭(한국포스트휴먼학회장)

14:10-15:00: 발표1

– 허유선(경남대). 자동화된 알고리즘과 공공성 위기: 공공 공간을 중심으로

15:00-15:50: 발표2

– 남성일(동국대). Al 시대는 민주주의 공론장을 붕괴시키는가?


15:50-16:10: 휴식


2부 16:10-18:00(발표 각 30분, 토론 20분)

사회: 신상규(이화여대)

16:10-17:00: 발표3

– 박성진(광주교대). 인공지능 시대의 인식적 부정의와 자유의 조건 그리고 예외 상태: 민주주의와 사유

17:00-17:50:발표4

– 권유빈, 홍성욱(서울대), 더 민주적인 AI 윤리 가이드라인을 위한 현행윤리(ethics-in-action).

17:50-18:00: 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