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생태학 연구의 지향과 방향 – 연속 콜로키움

한국포스트휴먼연구회, 몸문화연구소 공동 콜로키움
< AI 생태학 연구의 지형과 방향 >
이광석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일시 | 2023.6.30.(금) 15:00-17:00
장소 |온오프라인 동시 진행 (Zoom ID: 311 765 7487)
건국대학교 몸문화연구소 세미나실(중장비실험동 411호)
문의 | kkbody@konkuk.ac.kr
주최 | 한국포스트휴먼연구회, 몸문화연구소
후원 | 건국대학교, 교육부, 한국연구재단

한국포스트휴먼연구회가 여러분을 콜로키움에 초대합니다. 이번 콜로키움의 발표자는 이광석 교수로, “AI 생태학 연구의 지형과 방향”이라는 제목의 특강을 들려줍니다. 발표자는 『디지털 폭식사회』 『피지털 코먼즈』 『디지털의 배신』과 같은 저술로도 우리에게 잘 알려진 학자입니다. 많이 참석하셔서 이 소중한 기회를 잘 활용하시고 토론에도 참여하시길 바랍니다. 아래는 특강의 간단한 개요입니다.

인공지능은 우리에게 효율과 편리의 축복을 약속하는 듯이 보입니다. 그렇지만 그 이면에서는 탈사물화와 탈실재화, 탈신체화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생태학적 관점에서 인공지능을 어떻게 평가할 수 있을까요? 이광석 교수의 특강은 이 질문에 대답하려는 시도입니다. 인공지능은 사회적 편향과 편견, 시민 데이터 포획, AI 하류노동, 에너지 소비, 희귀금속 채굴 등 인간계와 자연계의 여러 층위에서 많은 생태적 폭력을 야기하고 있습니다. 인간의 의식과 사유에 미칠 위험도 무시할 수가 없습니다. 이광석 교수는 ‘AI 생태학’을 통해서 우리를 이러한 위기의 현장에 초대하고, 머리를 맞대고 대안도 모색해 보자고 요청하고 있습니다.

[ ‘ChatGPT와 포스트휴머니즘’ 연속 콜로키움 일정 ]
8월 강원대 + 경희대 : ChatGPT와 관계맺기 – 치유와 치료
10월 숙명여대: ChatGPT, 인간-비인간 공동체에서 기계 의존성
8~10월 중앙대: ChatGTP, LLM 저작권 법학 전문가 초청 학술대회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