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보관물: 공지/뉴스

포스트휴먼연구회, 한국포스트휴먼학회 2024년 가을 공동학술대회

‘부캐’의 시대 – 가상현실과 페르소나

일시: 2024년 10월 26일(토) 13:30 ~ 18:00

장소: 동국대학교 혜화관 320 미래융합세미나실

13:30-13:40 개회

1부 학술발표 사회: 심지원(동국대)

13:40-14:25 양천수(영남대 법전원): 인격권에 대한 새로운 위협과 대응 방안
14:25-15:10 정성훈(인천대): 디지털 가상 조건에서의 인격 동일성 문제

15:10-15:30 휴식

2부 학술발표 사회: 이길산(경남대)

15:30-16:15 신혜린(고려대): “스크립터”와 그렉 이건의 <순열도시>를 중심으로 인공 인격체의 생명론 (내지는 그 불가능성)
16:15-17:00 김종갑(건국대): 페르소나와 가상적 몸 – 포스트휴먼적 관점

3부 라운드테이블 토론 좌장 박인찬(숙명여대)

17:00-18:00 라운드테이블

주최 및 주관: 포스트휴먼연구회, 한국포스트휴먼학회
공동주최: 경남대 교양교육연구소, 동국대 철학과 및 동서사상연구소, 숙명여대 인문학연구소 HK+사업단
후원: 한국연구재단, 한국 IBM

‘우리’에게 포스트휴머니즘이란 무엇인가?

이번 토요일에 포스트휴먼연구회의 정기 봄 학술대회가 이화여대에서 개최됩니다. 관심있는 모든 분들을 초대합니다. 누구나 자유롭게 참가할 수 있는 학술대회입니다. 토요일 오후에, 아름다운 이화여대 캠퍼스도 구경하시고 풍성한 지식의 향연을 함께 즐겨주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일시: 2024년 6월 15일(토) 13:30 ~ 18:00

장소: 이화여자대학교 학관 109

자세한 내용은 아래 게시물의 프로그램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포스트휴먼연구회 2024년 봄 학술대회

우리에게 포스트휴머니즘이란 무엇인가?


일시: 2024년 6월 15일(토) 13:30 ~ 18:00

장소: 이화여자대학교 학관 109


13:30-13:40 개회


13:40-3:10 라운드 테이블 1: 포스트휴머니즘에서 성찰한 인간과 기계

좌장: 정성훈(인천대)

홍성욱(서울대): 나는 왜 기계이면서 기계가 아닌가

신상규(이화여대): 인간과 기계 사이

하인혜(인천대): 기계, 몸, 보철적 상상력


3:10-3:30 휴식


3:30-5:00 라운드 테이블 2: 포스트휴머니즘에서 상상한 인간의 미래

좌장: 김종갑(건국대)

우희종(서울대): 생명 진화로 보는 포스트휴먼의 모습

김재희(을지대): 기술과 포스트휴머니즘

이중원(서울시립대): 인간과 기계의 탈경계 시대 그리고 뉴휴머니즘


5:00-6:00 종합 토론: 좌장 – 박인찬(숙명여대)


주최 및 주관: 포스트휴먼연구회, 이화여대 이화인문과학원

공동 주최: 한국포스트휴먼학회, 숙명여대 인문학연구소 HK+사업단, 서울시립대학교 미래철학연구센터

후원: 한국연구재단, 서울대학교 과학기술과미래연구센터

14TH BEYOND HUMANISM CONFERENCE 참가 조사

이미 공지 드렸듯이 이번 7월 2-5일에 폴란드 우치(Lodz)에서 포스트휴먼 관련 학회인14TH BEYOND HUMANISM CONFERENCE 가 개최됩니다. 현재 4명 정도의 국내 학자가 참석할 예정인데, 혹시 참가 의향이 있는 분이 더 계시면 서로 정보를 공유하고 독립적인 세션을 꾸릴 가능성도 확인하고자 합니다. 혹시 참가 의향이 있으면 이번 토요일(3/23)까지 posthuman.or.kr@gmail.com 으로 메일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현재 CFP가 진행 중이며 3월말 마감 예정입니다. 학회에 관한 자세한 정보는 http://beyondhumanism.org/ 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가톨릭대학교 인간학연구소 등재학술지 논문 투고 안내

인간학연구소에서는 매년 3회 등재학술지 <인간연구>를 발간하고 있습니다.

<인간연구>는 철학, 문학, 교육학, 심리학, 과학 등 여러 학문 분야의 연구를 포괄하는 학제 간 연구 학술지입니다.

이번 4월에 발간되는 <인간연구>에서 “포스트휴먼 시대의 사회정의“라는 주제의 특집논문을 모집하고자 합니다.

제목 : 가톨릭대학교 인간학연구소 등재학술지 <인간연구> 제52호 특집논문 모집

주제 : 포스트휴먼 시대의 사회정의

투고마감일 : 2024년 3월 24일 (일)

발간 예정일 : 2024년 4월 30일(화)


[투고 자격]

ㅇ 학회 정회원

* JAMS내 온라인 회원 가입 후 가입비와 연회비 각 30,000원을 심사 개시 전까지 납부하여야 합니다.

* 평생회원은 정회원과 동등한 자격을 가지며 가입비는 면제되고 평생회원비 300,000원을 납부하여야 합니다.

* 계좌번호 : 우리은행 1005-703-291868, 예금주: 가톨릭대(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투고 방법]

1) 인간학연구소 홈페이지 https://cukire.jams.or.kr 제출

2) 제출 서류

① 연구 논문: 제공된 양식에 따라 30매 이내로 작성하여 저자 정보 삭제 후 제출

② 유사도 검사 결과 : https://check.kci.go.kr/ 에서 검사 시행 후 JAMS내 파일 탑재

③ 연구윤리준수확약 및 저작권이양동의서: 제공된 양식에 작성하여 JAMS내 파일 탑재

* 특수관계인과의 공저 논문의 경우 <특수관계인과의 논문 공저 사전 공개 및 동의서>를 제공된 양식에 따라 작성 후 이메일로 별도 제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3) 기타

ㅇ 『인간연구』 제52호는 일반논문 외에 특집논문을 모집합니다. 주제는 “포스트휴먼 시대의 사회정의”입니다. 연구자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투고를 부탁드립니다. 특집논문 게재도 일반논문과 동일한 투고 규정과 심사절차에 따라 진행됩니다.

ㅇ 『인간연구』는 연구논문 이외에 서평을 별도로 모집하고 있습니다. 아래의 항목을 이메일 (cukire@catholic.ac.kr)로 제출하시면 됩니다.

① 원고: 제공된 양식에 따라 10매 내외 작성

② 『인간연구』 투고자 인적사항 : 제공된 양식에 작성

③ 연구윤리준수확약 및 저작권이양동의서: 제공된 양식에 작성

* 서평의 경우 정규논문으로 인정되지는 않으나 소정의 원고료 20만원을 지급하오니 인간 연구 분야의 발전을 위하여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심사료 및 게재료]

ㅇ [심사료] 일반논문 60,000원 / 긴급투고 논문 120,000원

ㅇ [게재료] 일반논문 150,000원 / 연구비 지원 논문 300,000원 / 긴급투고 논문 400,000원

* 30매를 초과한 경우 매당 10,000원의 초과 게재료를 납부하여야 합니다.

* 계좌번호 : 우리은행 1005-703-291868, 예금주: 가톨릭대(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문의]

ㅇ [문의처] 인간학연구소

– Tel. 02-2164-4654

– E-Mail. cukire@catholic.ac.kr

– 홈페이지: http://cukire.catholic.ac.kr/

이화인문과학원 연구교수 채용공고

이화인문과학원은 21세기 지식, 기술, 문화 환경의 변화에 적극 대응하며 인간과 기계, 생태에 대해 다학제적 연구를 지향하는 인문학 연구원입니다. 본 연구원은 한국연구재단이 지원하는 대학중점연구소지원사업 <생태-기술 비평: 에코-테크네 인문학의 실천>을 2018.9.1부터 총 6년 계획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 연구를 주도적으로 이끌어갈 연구교수를 채용하고자 합니다.

– 모집기간: 2022년 9월 8일(목) ~ 9월 20일(화)

– 채용인원: 1명

– 계약기간: 2022.11.1.~2023.8.31., 이후 1년 단위로 재계약 가능

– 연구분야: 생태 비평, 기술 비평, 생태 기술 비평

– 지원 자격:

1) 사립학교 교원임용 및 이화여자대학교 연구교수임용 규정에 결격 사유가 없는 자

2) 박사학위 소지자 또는 취득 예정자(2022.10.31. 기준 박사학위 소지자)

– 제공사항:

1) 급여는 한국연구재단 대학중점연구소지원사업 규정에 따름

2) 2인 1실 연구실 제공

– 의무사항:

1) 본 연구사업 관련하여 KCI급 논문 연간 2편 이상 출판

2) 본 연구사업 관련된 학술 발표, 학술 출판, 학술행사 진행 및 행정 업무(연차보고서 포함)

본 공개채용에 지원하고자 하는 분은 다음 서류를 제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1차 심사

1) 이력서

2) 연구계획서: 아래 링크에 제시된 본 연구 주제(연구원 홈페이지 연구원 소개 확인)를 충분히 참조한 후에 작성하시기 바랍니다.

3) 연구소 발전 계획과 자신의 역할

4) 연구업적 목록: 최근 3년간(2019.9.1. ~ 2022.8.31.) 출간한 논문, 저서, 학술 발표 제목. 필요시 간략한 설명 추가

5) 최근 3년간 대표 논문 2편

– 1)~4)는 자유 양식으로 작성하고, 위 모든 문서를 2022년 9월 20일(화) 23:59까지 행정실 메일 주소로 PDF 형식으로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 2차심사: 1차 심사 통과자에 한하여 학위 증명서 제출 후 면접

– 면접 일정은 1차 심사 후 개별 통보할 예정입니다.

* 이화인문과학원 홈페이지: http://eih.ewha.ac.kr

* 행정실 연락처: eih@ewha.ac.kr, 02-3277-6597

포스트휴먼 연구자 네트워크 유튜브 채널 개설

포스트휴먼연구자네트워크의 2021 봄 학술대회,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포스트휴머니즘의 녹화된 줌 동영상을 유튜브 채널에 올렸습니다.

유튜브 채널의 주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https://www.youtube.com/channel/UC95mB2ZVKrv-T5evu65UeuA

앞으로도 포스트휴먼연구자네트워크 네트워크 주관으로 이루어지는 학술대회나, 세미나, 콜로키움 등의 동영상 자료을 이 채널을 통해 제공할 계획입니다.

구독과 좋아요 눌러주세요.^^ 감사합니다.

<인포스피어 휴머니티를 위한 정보 철학> 연구단 박사급전문연구원 모집

아래의 내용은 포스트휴먼 연구자 네트워크 홈페이지의 학술정보란에서도 볼 수 있습니다.

한국연구재단 일반공동연구 지원사업을 수행하고 있는 <인포스피어 휴머니티를 위한 정보 철학> 연구단에서 박사급전문연구원을 모집합니다. 관심 있는 분은, 포스트휴먼 연구자 네트워크 홈페이지(http://posthuman.or.kr/)의 학술정보란 게시물에 첨부된 연구 요약문을 참조하시어 간단한 ‘이력서’와 ‘연구계획’을 작성하여 (kimjh@eulji.ac.kr)로 보내 주시기 바랍니다. (이력서와 연구계획서는 자유 양식)

* 연구 기간: 2021. 7. 1 ~ 2022. 6. 30

* 급여는 한국연구재단 박사급전문연구원 기준입니다.

* 자격조건: 박사학위 소지자로서 최근 5년간 논문 5편

* 제출기한: 2021년 6월 11일(금) 24:00까지.

<연구업적 산정 방식 >

▪ 논문 : 한국연구재단 등재・등재후보학술지 또는 SCI(E), A&HCI・SSCI, SCOPUS 등재지에 게재된 논문은 업적 1편 (※ 공동저자(저자 수와 무관)로 참여한 논문도 업적 산정 가능)

▪ 저서・역서 : 단독 저작 1건은 업적 3편, 공동 저작 1건은 업적 2편으로 산정

▪ 특허 : 특허 1건은 업적 1편

① 학술대회 발표논문 인정 여부 ⇒ 학술대회 발표논문을 연구업적으로 인정하지는 않으며, 상기 학술지(재단 등재 학술지 등)에 정식 게재한 논문에 한해 연구업적으로 인정

② 재단 등재(후보) 학술지로 등재되기 이전 논문에 대한 등재(후보) 학술지 인정여부 ⇒ 등재(후보) 학술지 등재 이후의 논문에 한해 연구업적으로 인정

③ 박사학위 논문의 연구업적 인정여부 ⇒ 박사학위 논문은 연구업적으로 불인정

④ 단독저작 및 공동저작에 따른 연구업적 산정 기준(공동저자 수와 무관)
⇒ (논문) 단독/공동저작 모두 1편으로 인정
(저역서) 단독저작의 경우 업적 3편, 공동저작의 경우 업적 2편으로 인정

저서·역서는 정식출판이 되어 국제표준도서번호(ISBN: International Standard Book Number)을 부여받은 도서에 대해서만 인정됩니다.

[학술대회] 포스트-트루스 시대의 인간과 정보공간(infosphere)

키워드: 정보, 의미(지향성), 코드, 알고리듬, 인지, 지식, post-truth, 인간, AI, 포스트휴먼

우리가 정보의 홍수 속에 살고 있다는 말은 이젠 너무도 진부하게 들립니다. 이런 시대일수록 정보를 잘 가려 뽑고 통합하여 지식과 지혜를 얻으려 노력해야 한다는 말도 당연한 상식처럼 들립니다. 하지만 정보 가치의 핵심으로 간주되던 진리성과 정보의 연결이 느슨해지면서, 우리는 어느덧 ‘거짓 정보’라는 형용모순에 익숙해져 버렸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포스트-트루스 시대의 맥락에서 정보의 여러 측면을 치밀하게 재검토하는 작업의 학술적 시급함을 절실하게 느끼게 됩니다. <인포스피어 휴머니티를 위한 정보철학 연구단>은 이 시급함에 주목하여 정보와 의미, 진리 사이의 관계를 인간과 (포스트)휴머니즘의 관점에서, 특히 인간이 정보에 둘러싸여 활동하는 정보공간(Infosphere)을 분석하기 위한 학술대회를 준비했습니다. 정보는 그 특성상 필연적으로 학제적 주제일 수밖에 없으며, 그에 대한 연구결과물은 초학제적 성격을 갖추게 될 수도 있습니다. 정보와 인간의 관계맺음에 주목하는 다양한 분야 학자제현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일시: 2021년 2월 20일(토) 오후 1시~6시

장소: ZOOM 온라인 https://ewha.zoom.us/j/85418445760

회의 ID: 854 1844 5760

주관: 인포스피어 휴머니티를 위한 정보철학 연구단 (연구재단 일반공동연구)

공동개최: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인문과학원, 포스트휴먼연구자네트워크, HY CELPST(과학기술 윤리·법·정책센터)

후원: 한국연구재단, 이화여자대학교, 한양대학교

프로그램

(발표 20분/ 토론 20분)

1:00-1:10 개회 – 사회: 김재희(을지대)

1:10-1:30 기조발제: 지금, 왜 정보철학인가, 이중원(서울시립대, 한국철학회회장)

세션 1: 포스트트루스와 인공지능

– 사회/토론: 박충식(유원대)

1:30-2:10 홍성욱(서울대), AI 시대에 공정하다는 것은 무엇인가?

2:10-2:50 김형주(중앙대), GOFAI의 ‘G’와 XAI의 ‘X’

휴식: 2:50-3:00

세션 2: 인간매체정보

– 사회/토론: 석기용(성신여대)

3:00-3:40 송은주(이화여대), 토머스 핀천의 49호 품목의 경매: 정보이론과 문학의 교차

3:40-4:20 정찬철(한국외대), 알고리듬 비판이론을 향하여 – 메타데이터 사회, 알고리듬, 지식

휴식: 4:20-4:30

세션 3: 정보공간과 정보철학

– 사회/토론: 신상규(이화여대)

4:30-5:10 이지선(강원대), 헤르메스에서 엄지 세대로: 미셸 세르의 정보철학과 초연결 사유

5:10-5:50 이상욱(한양대), 이동과 번역: 라투르의 정보동역학

5:50-6:00 폐회 – 사회: 신상규

[채용공고] 이화인문과학원 연구교수 채용 공고

이화인문과학원은 21세기 지식, 기술, 문화 환경의 변화에 적극 대응하며 인간과 기계, 생태에 대해 다학제적 연구를 지향하는 인문학 연구원입니다. 본 연구원은 한국연구재단이 지원하는 대학중점연구소지원사업 <생태-기술 비평: 에코-테크네 인문학의 실천>을 2018.9.1부터 총 6년 계획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 연구를 주도적으로 이끌어갈 연구교수를 채용하고자 합니다.

– 모집기간: 2021년 1월 27일 ~ 1월 31일

– 인원: 1명

– 계약기간: 2021.3.1부터 1년 단위로 재계약

– 연구분야: 생태 비평, 기술 비평, 생태 기술 비평

– 지원 자격:

1) 사립학교 교원임용 및 이화여자대학교 연구교수임용 규정에 결격 사유가 없는 자

2) 2021.2.28 기준 박사학위 소지자

– 제공사항:

1) 급여는 한국연구재단 중점연구소 사업 규정에 따름

3) 2인 1실 연구실 제공

– 의무사항:

1) 본 연구사업 관련하여 KCI급 논문 연간 2편 이상 출판

2) 본 연구사업 관련된 학술 발표, 학술 출판, 학술행사 진행 및 행정 업무(연차보고서 포함)

본 공개채용에 지원하고자 하는 분은 다음 서류를 제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1차심사

1) 이력서

2) 연구계획서: 아래 링크에 제시된 본 연구 주제(연구원 홈페이지 연구원 소개 확인)를 충분히 참조한 후에 작성하시기 바랍니다.

3) 연구소 발전 계획과 자신의 역할

4) 연구업적 목록: 최근 3년간(2018.1.1. ~ 2020.12.31.) 출간한 논문, 저서, 학술 발표 제목. 필요시 간략한 설명 추가.

5) 최근 3년간 대표 논문 2편

– 1-4번은 자유 양식으로 작성하고, 위 모든 문서를 2021.1.31 24:00 까지 행정실 메일 주소로 PDF 형식으로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 2차심사: 1차 심사 통과자에 한하여 학위 증명서 제출 후 면접(2월 3일 or 4일)

– 면접 일정은 1차 심사 후 개별 통보할 예정입니다.

* 이화인문과학원 홈페이지: http://eih.ewha.ac.kr

* 행정실 연락처: eih@ewha.ac.kr, 02-3277-65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