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보관물: 학술정보

학술대회: 생성인공지능의 시대, 인공지능과 인간 가치의 공존을 위한 모색

  • 일시: 2023년 10월 28일(토) 오후 2시-6시
  • 장소: 이화여대 ECC 144 (온라인: https://ewha.zoom.us/j/83496984811)
  • 주관: 2023 경제인문사회연구회 AI윤리 인문정책 연구과제팀
  • 공동주최: 한국포스트휴먼연구회, 서울대 AI연구원 인공지능 ELSI 센터, 이화여대 포스트휴먼융합인문학 협동과정

ChatGPT 등 생성인공지능으로 인해 가속화되고 있는 디지털 대전환의 시대에, 인간의 가치를 바탕으로 인공지능 기술이 개발되고 활용되기 위한 인공지능 윤리의 정립 및 실행이 시급해 보입니다. 인공지능 기술의 혁신은 사회 변화를 촉진하되 강제하지 않아야 하고, 사회는 인간의 가치 증진에 봉사하도록 기술 변화를 유도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를 위해, 생성인공지능 기술의 발전과정과 작동 방식에 관해 논의하고, 연구, 교육, 창작, 노동, 환경에 미치는 영향과 그것의 현실적, 잠재적 위험을 분석하면서, 신뢰성, 안정성, 투명성과 해명가능성, 편향과 차별 방지, 자율성, 지속가능성 등을 담보하는 정책적, 제도적 방안을 모색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생성인공지능 기술로 인한 긍정적 사회 변화의 가능성을 부정하지 않으면서도, 그것이 야기할 위험을 완화할 수 있는 대비책을 모색하여, 인간 가치와 기술 혁신을 함께 증진할 수 있는 AI 윤리 정책의 정립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비인간 AI 의존성: ChatGPT와 창의적 인간의 한계 (ChatGPT와 포스트휴머니즘 연속 콜로키움)

초거대 AI가 활황이다. AI의 역사가 80년을 넘지만, 일상에서 그것을 매일 실감하면서 인간 존재에 위협을 느끼게 된 것은 최근의 일인 듯하다. 인간에게 그런 위협은 불안과 분노, 그리고 혐오를 낳는다. 그러나 AI를 사용하지 말자고 하기보다는 그것을 잘 사용하자는 목소리가 더 크게 들려온다. 근대인들은 타자 의존성을 인간의 취약성으로 보았지만, 점점 기울어가는 우리의 AI 의존성을 좀 더 상세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

비슷한 현상 문화와 예술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AI가 창작에 더 손쉽게 활용되는가 하면, 예술 행위를 대리하는 실험도 속속 등장하고 있다. 창의적 능력과 행위에서 가장 인간다운 모습을 발견할 수 있다고 믿어온 전통적인 신념이 시험대에 오르고 있다. 우리는 전문가를 모시고 초거대 AI 시대에 이러한 쟁점들을 폭넓게 논의하고자 한다.

제목 : 비인간 AI 의존성–ChatGPT와 창의적 인간의 한계

일시 : 2023년 10월 13일(금) 14:00~16:30
장소 : 숙명여자대학교 르네상스관 403호
온라인 주소(줌): https://sookmyung-ac-kr.zoom.us/j/81738128632?pwd=qfGNVy8mxylgPXj8KTf5pyWG7oVz17.1 (회의 ID: 817 3812 8632)

AI윤리 인문정책 세미나 6

2023 경제인문사회연구회 AI윤리 인문정책연구과제팀의 제6회 정기 세미나가 9/25(월)에 개최됩니다. 

이번 세미나는 2023 경제인문사회연구회 AI윤리 인문정책연구과제팀과 한국연구재단 AI연구윤리 연구사업팀의 연합 세미나로 진행됩니다. AI 윤리 문제에 관심이 있는 모든 시민, 연구자 분들을 환영합니다. 

이번 세미나는 온라인 신청자만 받습니다. 참가자에게는 행사 전 줌 주소를 메일로 발송합니다. 줌 주소 받으시면 해당시간에 줌에 접속하시면 됩니다.

<발표1>주제:  인공지능 활용한 논문 작성과 연구 윤리
연사:  원병문 (성균관대 교수)

<발표2>
주제: 생성형 AI의 윤리적 도전
연사: 이상욱 (한양대 교수)

시간: 9월 25일 월요일 18시 30분~21시

참여방식: 무료, 온라인 신청

신청링크: https://docs.google.com/forms/d/e/1FAIpQLScU4P_VXDbs3rMkD7nyo1nKzPGGD4tpAzJ93w85_pwbaUQ16Q/viewform

신청마감: 행사 하루 전 정오까지

문의: ai.ethics.philo@gmail.com

주최: 2023 경제인문사회연구회 AI윤리 인문정책연구과제팀, 한국연구재단 생성형AI 연구윤리 연구사업팀, HY 과학기술윤리법정책센터, 서울대 AI연구원 인공지능 ELSI센터, 이화여자대학교 포스트휴먼 융합인문학 전공 

에코테크네 시대, 한국 SF의 기원과 전개: 2023년 대중서사학회 가을 정기학술대회

2023년 대중서사학회 가을 정기학술대회

에코테크네 시대한국 SF의 기원과 전개

1993년 창립된 이후로 20세기 대중문화 및 매체의 다양성과 21세기 디지털 환경에서의 대중서사의 향방을 지속적으로 연구해 온 대중서사학회는 2023년 대중서사학회 가을정기학술대회의 주제를 “에코테크네 시대, 한국 SF의 기원과 전개”로 정했습니다. 한국에서 SF의 위상, 그리고 시대와 문화적 환경에 맞게 진화 발전해 온 정체성을 밝히고, 빠르게 발전하는 기술시대에 SF의 역할에 대한 연구를 발표하고 토론하려고 합니다.

특히 이번 학술대회는 그간 대중서사학회 ‘SF 비평 세미나’를 통해 함께 연구하고 토론해 온 선생님들의 다양한 연구 발표, 학문후속세대 연구자들의 포스터 발표와 조지 히라오카 클라크의 사변적 사운드 디자인에 관한 특별 초청 발표 등 다채롭고 흥미로운 학술적 행사들이 기획되어 즐거운 지적 향연의 시간이 될 것입니다. 과학적 상상과 현실이 구분되지 않는 ‘SF 시대’에, SF를 ‘함께’ 사유하려는 분들의 많은 관심과 참여 바랍니다.

* 일시 : 2023년 9월 16일(토요일) 오전 10시 ~ 17시 30분
* 장소 : 이화여자대학교 ECC 159호

AI윤리 인문정책 세미나 5

2023 경제인문사회연구회 AI윤리 인문정책연구과제팀의 제5회 정기 세미나가 8/23(수)에 개최됩니다. AI 윤리 문제에 관심이 있는 모든 시민, 연구자 분들을 환영합니다.
장소의 한계로 오프라인 현장 참가는 15명으로 선착순 제한하며 이 경우 별도 공지합니다. 온라인 참가자는 제한 없이 신청받습니다.

행사 전 줌 주소를 메일로 발송합니다. 인원 조기마감 공지가 따로 없다면 신청완료된 것으로 이해하시고 해당 장소, 시간에 참가하시면 됩니다.

<발표1>
주제: 인공지능 탈진실 환경에 요구되는 인지능력
연사: 구본권(한겨레신문 기자, 사람과디지털연구소장)

<발표2>
주제: AI시대, 성취의 간극과 일의 의미
연사: 신상규(이화여자대학교 교수)

시간: 8월 23일 수요일 15시~18시
장소: 서울 용산구 백범로99길 40 용산베르디움프렌즈 101동 지하1층 <서울시공익활동공간 삼각지> 회의실 1

참여방식: 무료, 온오프 양쪽 선택 후 신청
신청링크: https://docs.google.com/forms/d/e/1FAIpQLScU4P_VXDbs3rMkD7nyo1nKzPGGD4tpAzJ93w85_pwbaUQ16Q/viewform
혹은 동봉된 큐알코드 인식!
신청마감: 행사 하루 전 정오까지, 이후 줌주소 개별 전송

문의: ai.ethics.philo@gmail.com

주최: 2023 경제인문사회연구회 AI윤리 인문정책연구과제팀, 서울대 AI연구원 인공지능 ELSI센터, 이화여대 포스트휴먼 융합인문학 협동과정

ChatGPT와 관계맺기 – 치유와 치료 (연속 콜로키움)

한국포스트휴먼연구회 <ChatGPT와 포스트휴머니즘> 연속 콜로키움
제3회 콜로키움

제목 : ChatGPT와 관계맺기 – 치유와 치료
일시 : 2023년 8월 25일(금) 15:00~17:30
줌 온라인 미팅 : https://kangwon-ac-kr.zoom.us/j/89522415897
회의 ID: 895 2241 5897
장소 : 강원대학교 춘천캠퍼스 인문대학 2호관 210호

주최: 한국포스트휴먼연구회,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경희대학교 HK+통합의료인문학연구단
주관 :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경희대학교 HK+통합의료인문학연구단
후원 : 교육부, 한국연구재단, 강원대학교, 경희대학교,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AI윤리 인문정책 세미나 4

2023 경제인문사회연구회 AI윤리 인문정책연구과제팀의 제4회 정기 세미나가 8/8(화)에 개최됩니다. AI 윤리 문제에 관심이 있는 모든 시민, 연구자 분들을 환영합니다.
장소의 한계로 오프라인 현장 참가는 15명으로 선착순 제한하며 이 경우 별도 공지합니다. 온라인 참가자는 제한 없이 신청받습니다.

행사 전 줌 주소를 메일로 발송합니다. 인원 조기마감 공지가 따로 없다면 신청완료된 것으로 이해하시고 해당 장소, 시간에 참가하시면 됩니다.

<발표1>
주제: 재밌지만 우울한 여행: creative investigation in generative AI
연사: 민세희(전 경기콘텐츠진흥원 원장, 미디어 아티스트)

<발표2>
주제: 문학기계의 발명가들은 어떤 꿈을 꾸었나: The Eureka, Racter, ChatGPT
연사: 권보연(연세대 겸임교수, 사이버텍스트 디자이너)

시간: 8월 8일 화요일 15시~18시
장소: 서울 용산구 백범로99길 40 용산베르디움프렌즈 101동 지하1층 <서울시공익활동공간 삼각지> 회의실 1

참여방식: 무료, 온오프 양쪽 선택 후 신청
신청링크: https://docs.google.com/forms/d/e/1FAIpQLScU4P_VXDbs3rMkD7nyo1nKzPGGD4tpAzJ93w85_pwbaUQ16Q/viewform
혹은 동봉된 큐알코드 인식!
신청마감: 행사 하루 전 정오까지, 이후 줌주소 개별 전송

문의: ai.ethics.philo@gmail.com

주최: 2023 경제인문사회연구회 AI윤리 인문정책연구과제팀, 서울대 AI연구원 인공지능 ELSI센터, 이화여대 포스트휴먼 융합인문학 협동과정

AI윤리 인문정책 세미나 3

2023 경제인문사회연구회 AI윤리 인문정책연구과제팀의 제3회 정기 세미나가 7/26(수)에 개최됩니다. AI 윤리 문제에 관심이 있는 모든 시민, 연구자 분들을 환영합니다.
장소의 한계로 오프라인 현장 참가는 15명으로 선착순 제한하며 이 경우 별도 공지합니다. 온라인 참가자는 제한 없이 신청받습니다.

행사 전 줌 주소를 메일로 발송합니다. 인원 조기마감 공지가 따로 없다면 신청완료된 것으로 이해하시고 해당 장소, 시간에 참가하시면 됩니다.

<발표1>
주제: 생성AI의 교육적 영향과 쟁점
연사: 노대원(제주대 교수)

<발표2>
주제: ChatGPT, 교실에 오면?
연사: 박충식(유원대 교수)

시간: 7월 26일 수요일 16시~18시
장소: 서울 용산구 백범로99길 40 용산베르디움프렌즈 101동 지하1층 <서울시공익활동공간 삼각지> 회의실 1

참여방식: 무료, 온오프 양쪽 선택 후 신청
신청링크:  https://docs.google.com/forms/d/e/1FAIpQLScU4P_VXDbs3rMkD7nyo1nKzPGGD4tpAzJ93w85_pwbaUQ16Q/viewform

[SF 비평 세미나] 심완선 작가와의 대화

‘SF 비평 세미나’는 한국 대중서사의 현황을 분석하고 이론을 정립하기 위해 연구 노력을 기울여온 대중서사학회가 에코테크네 인문학 연구를 주도하는 이화인문과학원, 초학제적 포스트휴먼 연구를 선도하는 한국포스트휴먼연구회와 공동으로 기획하고 운영하는 SF 연구 모임입니다. SF의 시대에 SF의 장르 이론 및 비평 담론, 글로벌/한국 SF 텍스트, SF와 대중문화, SF와 사회문화-과학기술을 두루 깊이 공부하기 위한 세미나입니다.

SF 비평 세미나는 <SF와 함께라면 어디든>의 저자인 심완선 선생님과의 대화를 준비했습니다. SF 장르에 대한 즐겁고 깊이 있는 대화 시간이 될 것입니다. 많은 관심과 참여 바랍니다.

• 일시 : 2023년 7월 8일 토요일 오전 11시

• 줌 접속 : 인증된 사용자만 참여 가능합니다. 줌 회원 가입(무료) 바랍니다.
https://us02web.zoom.us/j/5237957825
회의 ID: 523 795 7825

* 대상 도서 :

<SF와 함께라면 어디든: 키워드로 여행하는 SF 세계>, 학교도서관저널, 2023.

SF 애독자이자 SF 평론가로서 국내외 SF의 궤적을 성실하게 따라온 심완선은 두 번째 비평서를 통해 독자적인 비평 세계를 세상에 내놓는다. 각 작품이 품은 가치들을 구석구석 조명할 뿐만 아니라, 기존 비평의 딱딱하고 학술적인 서술을 지양함으로써 독자가 SF와 SF 비평으로 한 발짝 더 가까이 다가설 수 있도록 안내한다. 나아가 SF의 역사, 정의, 이론보다 독자가 작품을 통해 몸과 마음으로 느낄 ‘흥미’ 자체에 초점을 맞춘다. 무엇보다 국내 작가들의 작품을 비중 있게 다루어 급성장세에 있는 한국 SF의 현주소를 파악하는 데 유용함을 더한다. SF를 새롭게 정의하고, 170여 편에 달하는 국내외 작품들을 들여다보는 심완선의 시선을 따라가다 보면 SF 여행자들은 낯선 세계를 향한 두려움과 경계를 풀고 이렇게 말하게 될 것이다. “SF와 함께라면 어디든 갈 수 있어!”

작가 심완선

SF 평론가. 책과 글쓰기와 장르문학에 관한 글을 쓴다. SF의 재미와 함께, 인간의 존엄성 및 사회적 평등과 문학의 연결 고리에 관심이 있다. 지은 책으로 『SF와 함께라면 어디든: 키워드로 여행하는 SF 세계』 『우리는 SF를 좋아해: 오늘을 쓰는 한국의 SF 작가 인터뷰집』 『SF는 정말 끝내주는데』가 있고, 『취미가』 『SF 거장과 걸작의 연대기』를 함께 썼다. 이외에 <어션 테일즈> <한국일보> <오마이뉴스> 등에 글을 실었고, 칼럼, 리뷰, 비평, 해설, 에세이 등을 쓰며 대담, 인터뷰, 강의 등을 한다.


• 사회, 토론 : 노대원 (SF 비평 세미나 팀장, 제주대)
• 토론 : 오윤호 (대중서사학회 회장, 문학평론가)
김성연 (대중서사학회 연구이사, 연세대)

• ‘작가와의 대화’ 시간은 작가의 책 소개와 참여자와의 토론, 질문 및 답변, 자유로운 대화로 이루어집니다. 참여자 누구든 자유롭게 작가에게 질문하고, 대화할 수 있습니다.

* 줌 접속은 인증된 사용자만 참여 가능합니다. 참여 전에 미리 줌 회원 가입(무료) 바랍니다.

AI윤리 인문정책 세미나 2

2023 경제인문사회연구회 AI윤리 인문정책연구과제팀의 제2회 정기 세미나가 7/1(토)에 개최됩니다. AI 윤리 문제에 관심이 있는 모든 시민, 연구자 분들을 환영합니다.

오프라인 현장 참가는 장소의 한계로 15명으로 선착순 제한하여 신청을 받습니다. 오프라인 참가 대상으로 선정이 되신 분께는 별도의 오프라인 참석 안내 메일을 발송합니다.

온라인 참가자는 제한 없이 신청받습니다. 온라인 참가자에게는 행사 전 줌 주소를 메일로 발송합니다. 줌 주소 받으시면 해당시간에 줌에 접속하시면 됩니다.

주제: 딥러닝의 근본적 한계와 극복 방안
연사: 최윤석(Texas A&M 교수)

시간: 7월 1일 토요일 15시~17시
장소: 서울 용산구 백범로99길 40 용산베르디움프렌즈 101동 지하1층 <서울시공익활동공간 삼각지>

참여방식: 무료, 온오프 양쪽 선택 후 신청
신청링크: https://docs.google.com/forms/d/e/1FAIpQLScU4P_VXDbs3rMkD7nyo1nKzPGGD4tpAzJ93w85_pwbaUQ16Q/viewform
혹은 동봉된 큐알코드 인식!
신청마감: 행사 하루 전 정오까지

문의: ai.ethics.philo@gmail.com

주최: 2023 경제인문사회연구회 AI윤리 인문정책연구과제팀, 서울대 AI연구원 인공지능 ELSI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