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보관물: 학술정보

‘인공지능 윤리와 젠더 그리고 생태’ 연속 콜로키움

이화여대 포스트휴먼 융합인문학 협동과정에서 제2차 이화선도융합연구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되는 2022년 1학기 연속 콜로키움 <인공지능 윤리와 젠더 그리고 생태>를 다음과 같이 개최합니다.


1차: 4월 29일(금) 오후 2시~4시

고인석(인하대): 인공지능 윤리 – 분명한 것과 그렇지 않은 것


2차: 5월 6일(금) 오후 4시~6시 

이동신(서울대): 포스트휴머니즘의 느낌들


3차: 5월 13일(금) 오후 4시~6시 

박진희(동국대:) 자원순환 경제로 기후위기 벗어나기


4차: 5월 20일(금) 오후 2시~4시 

김초엽(작가): SF, 다른 세계로의 여행


진행 방식: 온라인/오프라인 동시 진행

장소: 포스코관 363호

줌 접속 정보: https://ewha.zoom.us/j/92722912954

SF 비평 세미나 – 시즌 2

대중서사학회와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인문과학원이 공동 기획한 “SF 비평 세미나”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한국 대중 서사의 현황을 분석하고 이론을 정립하기 위해 노력해온 대중서사학회가 에코테크네 인문학 연구를 주도하는 이화인문과학원과 함께, SF 리터러시를 함양하고, 이론과 비평을 공부하기 위해 공동 기획으로 “SF 비평 세미나”를 진행합니다. 많은 참여 바랍니다.

교재 : 셰릴 빈트 [에스에프 에스프리]
일시 : 4월-8월 둘째주 토요일 11시
장소 : 줌 주소 303 101 9093

일정 및 교재 내용 (발제자)
4월 9일(토)
1. 과학소설이란 무엇인가? (오윤호)
2. 기술적으로 포화한 사회의 문학 (오윤호)
5월14일(토)
3. 인지적 소외 (연남경)
4. 메가텍스트 (노대원)
6월11일(토)
5. 사변소설 (이정옥)
6. 실천공동체 (서은영)
7월9일(토)
7. 신념의 문학 (전지니)
8. 변화의 문학 (김성연)
9. 과학소설성 (류수연)
8월
SF작가와의 만남

[초청강연] 프란체스카 페란도 – 포스트휴먼적 실재들

이화여자대학교 포스트휴먼융합인문학 협동과정과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가
공동 주최하는 해외 학자 초청 강연이 개최됩니다.

포스트휴먼 실재들 Posthuman Realities

강연
프란체스카 페란도 Francesca Ferrando
Adjunct Assistant Professor, NYU – Liberal Arts

젠더 연구로 석사 학위를, 철학으로 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현재 뉴욕대 조교수로 교양학부에서 철학을 가르치고 있다. 포스트휴머니즘과 트랜스휴머니즘에 관한 다수의 논문을 발표하고, 뉴욕 포스트휴먼 연구 그룹과 세계 포스트휴먼 연구자 네트워크인 ‘휴머니즘 너머(Beyond Humanism)’에서 활발히 활동하며, TED에서 최초로 포스트휴머니즘에 관한 강연을 실시하는 등 포스트휴머니즘 분야를 선도하고 있다. 2021년 11월 그녀의 저서 『철학적 포스트휴머니즘』 (이지선 옮김, 신상규 감수, 아카넷)이 우리말로 번역 · 출간되었다.

토론
신상규 (이화여대 이화인문과학원 교수 · 포스트휴먼융합인문학 협동과정 주임교수)
이지선(강원대 인문과학연구소 전임연구원)

일시
11월 27일 (토) 10시-12시 (Friday 8-10 PM EST)

문의
posthuman@ewha.ac.kr
cosmiel@kangwon.ac.kr

줌 링크
https://ewha.zoom.us/j/94540989120

주최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이화여자대학교 포스트휴먼융합인문학 협동과정

후원
강원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연구재단
아카넷

  • 강연 및 토론에는 순차 통역이 제공됩니다.
  • 행사가 끝난 후에는 최근 아카넷에서 출간된 페란도의 <철학적 포스트휴머니즘>의 증정 행사도 예정되어 있습니다.

이화여대 포스트휴먼 융합인문학 협동과정 외국학자 초청 연속 강좌

Invited Lecture Series by Distinguished Foreign Scholars

(유럽과 미국 현지 시간이 서머타임 종료에 따라 변경되었으니 유의바랍니다.)

이화여대 포스트휴먼 융합인문학 협동과정 외국학자 초청 연속 강좌

(제2차 이화선도융합연구 지원사업 – 미래인재양성형)

<인공지능 윤리와 젠더 그리고 생태>

AI Ethics, Gender and Ecology

일시: 2021.11.6. ~ 11.27 (토요일) – 매 강좌 동일한 주소를 이용합니다.
줌 접속 정보: https://ewha.zoom.us/j/94540989120


1) 11. 6. 오후 8~10시 (로마 오후 12~2시)
“We Have Always Been Cyborgs” – Stefan Sorgner (Chair of the Department of History and Humanities at John Cabot University in Rome)

2) 11.20. 오후 8~10시 (위트레흐트 오후 12~2시)
“Posthuman Feminism” – Rosi Braidotti (Distinguished University Professor at Utrecht University)

3) 11. 27. 오전 10~12시 (뉴욕 금요일 오후 8~10시)
“Posthuman Realities” – Francesca Ferrando (Adjunct Assistant Professor, NYU-Liberal Studies)


*콜로키움 문의: posthuman@ewha.ac.kr
*포스트휴먼융합인문학 협동과정 홈페이지: http://posthuman.ewha.ac.k

[세미나] 비인간과 인간의 공존: 접촉지대에서 훈련하기

인포스피어 휴머니티를 위한 정보철학 연구단에서 아래와 같이 전문가 초청 콜로키움을 개최합니다. 관심있는 분들의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제목: 비인간과 인간의 공존 – 접촉지대에서 훈련하기

발표자: 최유미 (수유너머 104연구원, 저서: <해러웨이, 공-산의 사유>, 역서: <트러블과 함께 하기>

일시 2021년 10월 23일 오후 3시 온라인 줌 https://ewha.zoom.us/j/97874574383

SF 비평 세미나

대중서사학회와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인문과학원이 공동 기획한 “SF 비평 세미나”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한국 대중 서사의 현황을 분석하고 이론을 정립하기 위해 노력해온 대중서사학회가 에코테크네 인문학 연구를 주도하는 이화인문과학원과 함께, SF 리터러시를 함양하고, 이론과 비평을 공부하기 위해 공동 기획으로 “SF 비평 세미나”를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이번에는 SF 비평의 기초가 되는 로버트 스콜즈와 에릭 S. 리프킨의 『SF의 이해』(평민사)를 함께 공부하며, 19세기 후반 20세기에 걸쳐 SF 장르가 성장하고 확산되었던 양상을 살펴보며 SF 명작들을 감상하려고 합니다.
적극적으로 세미나에 참여해주시고, CAFE에 가입하여 다양한 관련 자료를 공유함으로써, 한국SF의 미래와 함께 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1) 세미나 대상 : 로버트 스콜즈와 에릭 S. 리프킨의 [SF의 이해]
2) 세미나 날짜 : 매달 둘째주 토요일 오전 11시(10월은 첫 번째 주)
3) 세미나 장소 : ZOOM 303 101 9093 (비밀번호: sf0830, 연락처: 010-3059-9093)
4) 내용 : 사회자 (격월) : 노대원(제주대) / 류수연(인하대)
1회 : 10월 2일 11시 오윤호(이화여자대학교)
SF의 기원 (1-26쪽)
2회 : 11월 13일 11시 이지용(건국대)
      웰즈와 미국의 대중잡지 시대 (~60쪽)
3회 : 12월 11일 11시 전지니(한경대)
      반(反)SF와 SF의 황금 시대 (~95쪽)
4회 : 1월 8일 11시 이정옥(숙명여대)
      60년대 이후 SF의 새로운 경향 (~134쪽)
5회 : 2월 12일 11시 최배은(숙명여대)
      영상 미디어와 SF (~150쪽)
6회 : 3월 12일 11시 SF 작가 초청 강연

신유물론에서 ‘물질’ 개념과 상관주의의 문제

한국연구재단 일반공동연구 지원사업을 수행하고 있는 <인포스피어 휴머니티를 위한 정보 철학> 연구단에서 2021년 제5회 전문가 초청 콜로키움을 개최합니다.

 “신유물론에서 ‘물질’ 개념과 상관주의의 문제” 

박준영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강사

일시 9월 25일 오후 3시
장소 온라인 줌 (ZOOM): https://ewha.zoom.us/j/95211276455

이화여대 포스트휴먼 융합인문학 협동과정 연속 콜로키움

이화여대 포스트휴먼 융합인문학 협동과정에서 ‘제2차 이화선도융합연구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아래와 같이 연속 콜로키움을 개최합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인공지능 윤리와 젠더 그리고 생태>

일시: 2021.7.12.~7.13, 7.15~16. (오후 4시-6시)

장소: 코로나 확산으로 인해 연속 콜로키움은 전면 비대면(줌온라인)으로 진행됨을 알려드립니다. 착오 없으시길 바랍니다.

7월 12일(월) 오후4시-6시: 손화철(한동대), “실천철학으로서의 기술철학”

7월 13일(화) 오후4시-6시: 이상욱(한양대), “AI 윤리란 무엇인가? 국제동향과 핵심 쟁점”

7월 15일(목) 오후4시-6시: 박범순(KAIST), “인류세는 새로운 인간중심주의를 부르는가? 행성성(Planetarity)에 대하여”

7월 16일(금) 오후4시-6시: 현남숙(성균관대), “D. 해러웨이의 다종 생태정치(multispecies ecopolitics)”

참가 신청 링크 >> bit.ly/포휴콜로키움

*콜로키움 문의: posthuman@ewha.ac.kr
*포스트휴먼융합인문학 협동과정 홈페이지: http://posthuman.ewha.ac.kr/

체화된 인지와 정보 – 의미생성 시스템으로서의 행위와 지각의 순환

한국연구재단 일반공동연구 지원사업을 수행하고 있는 <인포스피어 휴머니티를 위한 정보 철학> 연구단에서 2021년 제4회 전문가 초청 콜로키움을 개최합니다. 

“체화된 인지와 정보 – 의미생성 시스템으로서 행위와 지각의 순환”

김성호 – 이화여대 심리학과/포스트휴먼융합인문학 협동과정

일시: 2021년 6월 12일(토) 오후 4-6시

장소: 이화여대 이화포스코관 354호

문의: posthuman@ewha.ac.kr

[포스트휴먼연구자네트워크 2021 봄 학술대회]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포스트휴머니즘

[온라인+오프라인 병행 개최로 예정하였던 학술대회를 코로나 상황이 호전되지 않은 관계로 온라인으로만 진행하기로 하였음을 알려드립니다.]

포스트휴먼연구자네트워크의 2021 봄 학술대회를 다음과 같이 개최합니다. 자세한 프로그램은 포스트휴먼연구자네트워크 홈페이지의 학술정보란에서 다운로드 받으실 수 있습니다.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포스트휴머니즘

코로나-19 대유행이 우리의 일상을 장악한 지 만 일 년이 넘어가고 있다. 이미 지난해부터 여러 학술대회들에서 감염병을 화두로 하여 인간과 비인간 사이의 네트워크, 감염병 시대의 생정치, 전 지구적 공중 보건 등에 대해 활발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포스트휴먼 연구자 네트워크 역시 코로나 감염병 시대에 더욱 부각된 공동체, 취약성, 돌봄의 윤리, 대안적 생태주의 비평 등과 같은 쟁점을 공유하며, 포스트휴머니즘이라는 틀에서 학제간 대화를 시도하고자 한다. 포스트-코로나 시대만큼 포스트휴먼적 조건을 드러내는 때가 없기에 문학, 철학, 사회학, 사학적 접근을 망라하여 시의성 있는 윤리적 고찰을 도출하고자 한다. 동시에 이러한 학제간 대화를 통해 포스트휴머니즘이라는 비평적 접근의 가소성 역시 타진해볼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일자: 6월 5일(토) 오후 1:00~6:00

장소: 온라인(ZOOM) 진행 (https://ewha.zoom.us/j/84356075352)

주관: 포스트휴먼연구자 네트워크

공동주최: 건국대 몸문화연구소, 서울대 과학기술과미래연구센터, 이화여대 이화인문과학원

후원: 한국연구재단


프로그램

1:00-1:05 개회

사회: 신상규(이화여대)

1: 기조발표

1:05-1:30 김환석(국민대):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문명 전환: 인간중심적 문명에서 탈인간중심적 문명으로

1:30-1:55 우희종(서울대): 포스트휴먼과 포스트코로나의 만남

1:55-2:15 질의 및 토론

휴식: 2:15-2:20

2부: 포스트코로나 사회를 상상한다

사회 및 토론: 홍성욱(서울대)

2:20-2:55 김재희(을지대): 정보기술의 파르마콘적 의미와 돌봄으로서의 앎

2:55-3:30 김기흥(포스텍): 인간-병원체-기술의 혼종적 결합체로서 질병

휴식: 3:30-3:40

사회 및 토론: 박신현(건국대)

3:40-4:15 임소연(숙명여대): 에코페미니즘의 귀환: 자연, 여성, 그리고 신유물론

4:15-4:50 하인혜(인천대): 사물의 친연성:  『스테이션 일레븐』에 재현된 대멸종 이후의 세계

휴식: 4:50-5:00

3부: 포스트휴먼 문학과 철학

사회 및 토론: 박은주(이화여대)

5:00-5:30 김영아(성균관대): 무대 위의 또 다른 배우 연구: 인형에서 가상의 배우까지

5:30-6:00 권도경(나사렛대): 드라마 <너도 인간이니>의 애정전기소설 재매개화에 나타난 포스트휴머니즘과 근대 이전 프리휴머니즘(Pre-humanism)의 생태주의적 상동성

6:00-6:30 김연재(공주대): 주역의 변통적(变通的) 경계(境界)와 포스트휴먼의 가치관 ㅡ 창발의 산파술에 착안하여

6:30 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