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유물론에서 ‘물질’ 개념과 상관주의의 문제

한국연구재단 일반공동연구 지원사업을 수행하고 있는 <인포스피어 휴머니티를 위한 정보 철학> 연구단에서 2021년 제5회 전문가 초청 콜로키움을 개최합니다.

 “신유물론에서 ‘물질’ 개념과 상관주의의 문제” 

박준영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강사

일시 9월 25일 오후 3시
장소 온라인 줌 (ZOOM): https://ewha.zoom.us/j/95211276455

이화여대 포스트휴먼 융합인문학 협동과정 연속 콜로키움

이화여대 포스트휴먼 융합인문학 협동과정에서 ‘제2차 이화선도융합연구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아래와 같이 연속 콜로키움을 개최합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인공지능 윤리와 젠더 그리고 생태>

일시: 2021.7.12.~7.13, 7.15~16. (오후 4시-6시)

장소: 코로나 확산으로 인해 연속 콜로키움은 전면 비대면(줌온라인)으로 진행됨을 알려드립니다. 착오 없으시길 바랍니다.

7월 12일(월) 오후4시-6시: 손화철(한동대), “실천철학으로서의 기술철학”

7월 13일(화) 오후4시-6시: 이상욱(한양대), “AI 윤리란 무엇인가? 국제동향과 핵심 쟁점”

7월 15일(목) 오후4시-6시: 박범순(KAIST), “인류세는 새로운 인간중심주의를 부르는가? 행성성(Planetarity)에 대하여”

7월 16일(금) 오후4시-6시: 현남숙(성균관대), “D. 해러웨이의 다종 생태정치(multispecies ecopolitics)”

참가 신청 링크 >> bit.ly/포휴콜로키움

*콜로키움 문의: posthuman@ewha.ac.kr
*포스트휴먼융합인문학 협동과정 홈페이지: http://posthuman.ewha.ac.kr/

포스트휴먼 연구자 네트워크 유튜브 채널 개설

포스트휴먼연구자네트워크의 2021 봄 학술대회,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포스트휴머니즘의 녹화된 줌 동영상을 유튜브 채널에 올렸습니다.

유튜브 채널의 주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https://www.youtube.com/channel/UC95mB2ZVKrv-T5evu65UeuA

앞으로도 포스트휴먼연구자네트워크 네트워크 주관으로 이루어지는 학술대회나, 세미나, 콜로키움 등의 동영상 자료을 이 채널을 통해 제공할 계획입니다.

구독과 좋아요 눌러주세요.^^ 감사합니다.

체화된 인지와 정보 – 의미생성 시스템으로서의 행위와 지각의 순환

한국연구재단 일반공동연구 지원사업을 수행하고 있는 <인포스피어 휴머니티를 위한 정보 철학> 연구단에서 2021년 제4회 전문가 초청 콜로키움을 개최합니다. 

“체화된 인지와 정보 – 의미생성 시스템으로서 행위와 지각의 순환”

김성호 – 이화여대 심리학과/포스트휴먼융합인문학 협동과정

일시: 2021년 6월 12일(토) 오후 4-6시

장소: 이화여대 이화포스코관 354호

문의: posthuman@ewha.ac.kr

[포스트휴먼연구자네트워크 2021 봄 학술대회]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포스트휴머니즘

[온라인+오프라인 병행 개최로 예정하였던 학술대회를 코로나 상황이 호전되지 않은 관계로 온라인으로만 진행하기로 하였음을 알려드립니다.]

포스트휴먼연구자네트워크의 2021 봄 학술대회를 다음과 같이 개최합니다. 자세한 프로그램은 포스트휴먼연구자네트워크 홈페이지의 학술정보란에서 다운로드 받으실 수 있습니다.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포스트휴머니즘

코로나-19 대유행이 우리의 일상을 장악한 지 만 일 년이 넘어가고 있다. 이미 지난해부터 여러 학술대회들에서 감염병을 화두로 하여 인간과 비인간 사이의 네트워크, 감염병 시대의 생정치, 전 지구적 공중 보건 등에 대해 활발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포스트휴먼 연구자 네트워크 역시 코로나 감염병 시대에 더욱 부각된 공동체, 취약성, 돌봄의 윤리, 대안적 생태주의 비평 등과 같은 쟁점을 공유하며, 포스트휴머니즘이라는 틀에서 학제간 대화를 시도하고자 한다. 포스트-코로나 시대만큼 포스트휴먼적 조건을 드러내는 때가 없기에 문학, 철학, 사회학, 사학적 접근을 망라하여 시의성 있는 윤리적 고찰을 도출하고자 한다. 동시에 이러한 학제간 대화를 통해 포스트휴머니즘이라는 비평적 접근의 가소성 역시 타진해볼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일자: 6월 5일(토) 오후 1:00~6:00

장소: 온라인(ZOOM) 진행 (https://ewha.zoom.us/j/84356075352)

주관: 포스트휴먼연구자 네트워크

공동주최: 건국대 몸문화연구소, 서울대 과학기술과미래연구센터, 이화여대 이화인문과학원

후원: 한국연구재단


프로그램

1:00-1:05 개회

사회: 신상규(이화여대)

1: 기조발표

1:05-1:30 김환석(국민대):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문명 전환: 인간중심적 문명에서 탈인간중심적 문명으로

1:30-1:55 우희종(서울대): 포스트휴먼과 포스트코로나의 만남

1:55-2:15 질의 및 토론

휴식: 2:15-2:20

2부: 포스트코로나 사회를 상상한다

사회 및 토론: 홍성욱(서울대)

2:20-2:55 김재희(을지대): 정보기술의 파르마콘적 의미와 돌봄으로서의 앎

2:55-3:30 김기흥(포스텍): 인간-병원체-기술의 혼종적 결합체로서 질병

휴식: 3:30-3:40

사회 및 토론: 박신현(건국대)

3:40-4:15 임소연(숙명여대): 에코페미니즘의 귀환: 자연, 여성, 그리고 신유물론

4:15-4:50 하인혜(인천대): 사물의 친연성:  『스테이션 일레븐』에 재현된 대멸종 이후의 세계

휴식: 4:50-5:00

3부: 포스트휴먼 문학과 철학

사회 및 토론: 박은주(이화여대)

5:00-5:30 김영아(성균관대): 무대 위의 또 다른 배우 연구: 인형에서 가상의 배우까지

5:30-6:00 권도경(나사렛대): 드라마 <너도 인간이니>의 애정전기소설 재매개화에 나타난 포스트휴머니즘과 근대 이전 프리휴머니즘(Pre-humanism)의 생태주의적 상동성

6:00-6:30 김연재(공주대): 주역의 변통적(变通的) 경계(境界)와 포스트휴먼의 가치관 ㅡ 창발의 산파술에 착안하여

6:30 폐회

<인포스피어 휴머니티를 위한 정보 철학> 연구단 박사급전문연구원 모집

아래의 내용은 포스트휴먼 연구자 네트워크 홈페이지의 학술정보란에서도 볼 수 있습니다.

한국연구재단 일반공동연구 지원사업을 수행하고 있는 <인포스피어 휴머니티를 위한 정보 철학> 연구단에서 박사급전문연구원을 모집합니다. 관심 있는 분은, 포스트휴먼 연구자 네트워크 홈페이지(http://posthuman.or.kr/)의 학술정보란 게시물에 첨부된 연구 요약문을 참조하시어 간단한 ‘이력서’와 ‘연구계획’을 작성하여 (kimjh@eulji.ac.kr)로 보내 주시기 바랍니다. (이력서와 연구계획서는 자유 양식)

* 연구 기간: 2021. 7. 1 ~ 2022. 6. 30

* 급여는 한국연구재단 박사급전문연구원 기준입니다.

* 자격조건: 박사학위 소지자로서 최근 5년간 논문 5편

* 제출기한: 2021년 6월 11일(금) 24:00까지.

<연구업적 산정 방식 >

▪ 논문 : 한국연구재단 등재・등재후보학술지 또는 SCI(E), A&HCI・SSCI, SCOPUS 등재지에 게재된 논문은 업적 1편 (※ 공동저자(저자 수와 무관)로 참여한 논문도 업적 산정 가능)

▪ 저서・역서 : 단독 저작 1건은 업적 3편, 공동 저작 1건은 업적 2편으로 산정

▪ 특허 : 특허 1건은 업적 1편

① 학술대회 발표논문 인정 여부 ⇒ 학술대회 발표논문을 연구업적으로 인정하지는 않으며, 상기 학술지(재단 등재 학술지 등)에 정식 게재한 논문에 한해 연구업적으로 인정

② 재단 등재(후보) 학술지로 등재되기 이전 논문에 대한 등재(후보) 학술지 인정여부 ⇒ 등재(후보) 학술지 등재 이후의 논문에 한해 연구업적으로 인정

③ 박사학위 논문의 연구업적 인정여부 ⇒ 박사학위 논문은 연구업적으로 불인정

④ 단독저작 및 공동저작에 따른 연구업적 산정 기준(공동저자 수와 무관)
⇒ (논문) 단독/공동저작 모두 1편으로 인정
(저역서) 단독저작의 경우 업적 3편, 공동저작의 경우 업적 2편으로 인정

저서·역서는 정식출판이 되어 국제표준도서번호(ISBN: International Standard Book Number)을 부여받은 도서에 대해서만 인정됩니다.

연구재단 일반공동연구 지원사업 <인포스피어 정보철학> 박사급 연구원 모집

한국연구재단 일반공동연구 지원사업을 수행하고 있는 <인포스피어 휴머니티를 위한 정보 철학> 연구단에서 박사급전문연구원을 모집합니다. 관심 있는 분은 첨부된 연구 요약문을 참조하시어 간단한 ‘이력서’와 ‘연구계획’을 작성하여 (kimjh@eulji.ac.kr)로 보내 주시기 바랍니다. (이력서와 연구계획서는 자유 양식)

* 연구 기간: 2021. 7. 1 ~ 2022. 6. 30

* 급여는 한국연구재단 박사급전문연구원 기준입니다.

* 자격조건: 박사학위 소지자로서 최근 5년간 논문 5편

* 제출기한: 2021년 6월 11일(금) 24:00까지.

<연구업적 산정 방식 >

▪ 논문 : 한국연구재단 등재・등재후보학술지 또는 SCI(E), A&HCI・SSCI, SCOPUS 등재지에 게재된 논문은 업적 1편 (※ 공동저자(저자 수와 무관)로 참여한 논문도 업적 산정 가능)

▪ 저서・역서 : 단독 저작 1건은 업적 3편, 공동 저작 1건은 업적 2편으로 산정

▪ 특허 : 특허 1건은 업적 1편

① 학술대회 발표논문 인정 여부 ⇒ 학술대회 발표논문을 연구업적으로 인정하지는 않으며, 상기 학술지(재단 등재 학술지 등)에 정식 게재한 논문에 한해 연구업적으로 인정

② 재단 등재(후보) 학술지로 등재되기 이전 논문에 대한 등재(후보) 학술지 인정여부 ⇒ 등재(후보) 학술지 등재 이후의 논문에 한해 연구업적으로 인정

③ 박사학위 논문의 연구업적 인정여부 ⇒ 박사학위 논문은 연구업적으로 불인정

④ 단독저작 및 공동저작에 따른 연구업적 산정 기준(공동저자 수와 무관)
⇒ (논문) 단독/공동저작 모두 1편으로 인정
(저역서) 단독저작의 경우 업적 3편, 공동저작의 경우 업적 2편으로 인정

저서·역서는 정식출판이 되어 국제표준도서번호(ISBN: International Standard Book Number)을 부여받은 도서에 대해서만 인정됩니다.

[웨비나] 인터넷 시대의 ‘가짜뉴스’의 의미와 대응 (5/13, RSVP only)

일시: 2021년 5월 13일(목) 오전 10시-12시 (온라인 웨비나)
주최: 사단법인 오픈넷, HY CELPST(한양대학교 과학기술윤리법정책센터)

[기획취지]
가짜뉴스 혹은 허위조작정보의 확산이 전략적, 기술적으로 매우 다변화, 다각화되고 있는 인터넷 시대에도 밀이나 하버마스 등 표현의 자유와 관련한 전통적인 이론을 통한 접근과 대응은 여전히 유효할까? 가짜뉴스 혹은 허위조작정보에 대한 구체적인 규제를 논하기 전에, 가짜뉴스 혹은 허위조작정보의 유포와 확산 메커니즘, 그리고 표현의 자유에 대한 보다 철학적인 고찰을 통해 앞으로 가짜뉴스 혹은 허위조작정보에 대한 실질적이고 효율적인 대응 방안은 무엇인가를 논의하는 자리를 갖는다.

[프로그램]
좌장: 황성기(한양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오픈넷 이사장)
발제: 자유주의, ‘열린 사회’, 사안별(piecemeal) 사회공학
– 이상욱(한양대학교 철학과 교수, HY CELPST 센터장)
토론:
강정수(미디어스피어 이사)
박아란(한국언론진흥재단 책임연구위원)
윤성현(한양대학교 정책학과 교수)
홍성구(강원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

>> 참가신청 링크: https://forms.gle/sxvrTCUgPuHWXC4h6

  • 본 행사는 줌(Zoom)으로 진행되며, 참가신청을 하신 분만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참가신청을 하신 분들께 행사 전 이메일로 웨비나 입장 링크를 보내드립니다.
  • 참석 여부를 신중하게 결정해주시고 신청하신 분은 꼭 참석해주시기 바랍니다. 참가신청 후 참석이 불가피한 경우에는 사전에 참석을 취소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본 행사는 유튜브 오픈넷 채널을 통해 실시간 중계됩니다.

문의: 오픈넷 사무국 02-581-1643, master@opennet.or.kr

[포스트휴먼연구자네트워크 2021 봄 학술대회]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포스트휴머니즘

포스트휴먼연구자네트워크의 2021 봄 학술대회를 다음과 같이 개최합니다. 자세한 프로그램은 포스트휴먼연구자네트워크 홈페이지의 학술정보란에서 다운로드 받으실 수 있습니다.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포스트휴머니즘

코로나-19 대유행이 우리의 일상을 장악한 지 만 일 년이 넘어가고 있다. 이미 지난해부터 여러 학술대회들에서 감염병을 화두로 하여 인간과 비인간 사이의 네트워크, 감염병 시대의 생정치, 전 지구적 공중 보건 등에 대해 활발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포스트휴먼 연구자 네트워크 역시 코로나 감염병 시대에 더욱 부각된 공동체, 취약성, 돌봄의 윤리, 대안적 생태주의 비평 등과 같은 쟁점을 공유하며, 포스트휴머니즘이라는 틀에서 학제간 대화를 시도하고자 한다. 포스트-코로나 시대만큼 포스트휴먼적 조건을 드러내는 때가 없기에 문학, 철학, 사회학, 사학적 접근을 망라하여 시의성 있는 윤리적 고찰을 도출하고자 한다. 동시에 이러한 학제간 대화를 통해 포스트휴머니즘이라는 비평적 접근의 가소성 역시 타진해볼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일자: 65() ZOOM (https://ewha.zoom.us/j/84356075352)+오프라인

장소: 이화여대 (추후 공지)

주관: 포스트휴먼연구자 네트워크

공동주최: 건국대 몸문화연구소, 서울대 과학기술과미래연구센터, 이화여대 이화인문과학원

후원: 한국연구재단


프로그램

1:00-1:05 개회

사회: 신상규(이화여대)

1: 기조발표

1:05-1:30 김환석(국민대):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문명 전환: 인간중심적 문명에서 탈인간중심적 문명으로

1:30-1:55 우희종(서울대): 포스트휴먼과 포스트코로나의 만남

1:55-2:15 질의 및 토론

휴식: 2:15-2:20

2부: 포스트코로나 사회를 상상한다

사회 및 토론: 홍성욱(서울대)

2:20-2:55 김재희(을지대): 정보기술의 파르마콘적 의미와 돌봄으로서의 앎

2:55-3:30 김기흥(포스텍): 인간-병원체-기술의 혼종적 결합체로서 질병

휴식: 3:30-3:40

사회 및 토론: 박신현(건국대)

3:40-4:15 임소연(숙명여대): 에코페미니즘의 귀환: 자연, 여성, 그리고 신유물론

4:15-4:50 하인혜(인천대): 사물의 친연성:  『스테이션 일레븐』에 재현된 대멸종 이후의 세계

휴식: 4:50-5:00

3부: 포스트휴먼 문학과 철학

사회 및 토론: 박은주(이화여대)

5:00-5:30 김영아(성균관대): 무대 위의 또 다른 배우 연구: 인형에서 가상의 배우까지

5:30-6:00 권도경(나사렛대): 드라마 <너도 인간이니>의 애정전기소설 재매개화에 나타난 포스트휴머니즘과 근대 이전 프리휴머니즘(Pre-humanism)의 생태주의적 상동성

6:00-6:30 김연재(공주대): 주역의 변통적(变通的) 경계(境界)와 포스트휴먼의 가치관 ㅡ 창발의 산파술에 착안하여

6:30 폐회

[북세미나] 2021년 해외 학자 초청 인간-동물 관계 북세미나

인간-동물 네트워크 연구팀은 2021년 해외 학자 초청 인간-동물 관계 북세미나를 온라인으로 개최한다. 

2021년 5월부터 11월까지 총 4차례로 진행될 북세미나에서는 인간-동물 연구 분야의 해외학자 4인을 초청하여, 그들의 주요 저서 내용을 바탕으로 인간-동물학의 현황과 이슈에 대한 강연과 토론을 중심으로 진행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