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ST 인문학부의 Posthuman Research Cluster에서 주최하는 “포스휴먼 연구” 관련 2021년 봄학기 Brown Bag Talk Series의 일정을 공유합니다. 관심있으신 분은 포스터의 하단에 있는 주소를 이용하여 등록하시기 바랍니다.
[학술대회] 포스트-트루스 시대의 인간과 정보공간(infosphere)
키워드: 정보, 의미(지향성), 코드, 알고리듬, 인지, 지식, post-truth, 인간, AI, 포스트휴먼
우리가 정보의 홍수 속에 살고 있다는 말은 이젠 너무도 진부하게 들립니다. 이런 시대일수록 정보를 잘 가려 뽑고 통합하여 지식과 지혜를 얻으려 노력해야 한다는 말도 당연한 상식처럼 들립니다. 하지만 정보 가치의 핵심으로 간주되던 진리성과 정보의 연결이 느슨해지면서, 우리는 어느덧 ‘거짓 정보’라는 형용모순에 익숙해져 버렸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포스트-트루스 시대의 맥락에서 정보의 여러 측면을 치밀하게 재검토하는 작업의 학술적 시급함을 절실하게 느끼게 됩니다. <인포스피어 휴머니티를 위한 정보철학 연구단>은 이 시급함에 주목하여 정보와 의미, 진리 사이의 관계를 인간과 (포스트)휴머니즘의 관점에서, 특히 인간이 정보에 둘러싸여 활동하는 정보공간(Infosphere)을 분석하기 위한 학술대회를 준비했습니다. 정보는 그 특성상 필연적으로 학제적 주제일 수밖에 없으며, 그에 대한 연구결과물은 초학제적 성격을 갖추게 될 수도 있습니다. 정보와 인간의 관계맺음에 주목하는 다양한 분야 학자제현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일시: 2021년 2월 20일(토) 오후 1시~6시
장소: ZOOM 온라인 https://ewha.zoom.us/j/85418445760
회의 ID: 854 1844 5760
주관: 인포스피어 휴머니티를 위한 정보철학 연구단 (연구재단 일반공동연구)
공동개최: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인문과학원, 포스트휴먼연구자네트워크, HY CELPST(과학기술 윤리·법·정책센터)
후원: 한국연구재단, 이화여자대학교, 한양대학교
프로그램
(발표 20분/ 토론 20분)
1:00-1:10 개회 – 사회: 김재희(을지대)
1:10-1:30 기조발제: 지금, 왜 정보철학인가, 이중원(서울시립대, 한국철학회회장)
세션 1: 포스트–트루스와 인공지능
– 사회/토론: 박충식(유원대)
1:30-2:10 홍성욱(서울대), AI 시대에 공정하다는 것은 무엇인가?
2:10-2:50 김형주(중앙대), GOFAI의 ‘G’와 XAI의 ‘X’
휴식: 2:50-3:00
세션 2: 인간, 매체, 정보
– 사회/토론: 석기용(성신여대)
3:00-3:40 송은주(이화여대), 토머스 핀천의 49호 품목의 경매: 정보이론과 문학의 교차
3:40-4:20 정찬철(한국외대), 알고리듬 비판이론을 향하여 – 메타데이터 사회, 알고리듬, 지식
휴식: 4:20-4:30
세션 3: 정보공간과 정보철학
– 사회/토론: 신상규(이화여대)
4:30-5:10 이지선(강원대), 헤르메스에서 엄지 세대로: 미셸 세르의 정보철학과 초연결 사유
5:10-5:50 이상욱(한양대), 이동과 번역: 라투르의 정보동역학
5:50-6:00 폐회 – 사회: 신상규
[채용공고] 이화인문과학원 연구교수 채용 공고
이화인문과학원은 21세기 지식, 기술, 문화 환경의 변화에 적극 대응하며 인간과 기계, 생태에 대해 다학제적 연구를 지향하는 인문학 연구원입니다. 본 연구원은 한국연구재단이 지원하는 대학중점연구소지원사업 <생태-기술 비평: 에코-테크네 인문학의 실천>을 2018.9.1부터 총 6년 계획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 연구를 주도적으로 이끌어갈 연구교수를 채용하고자 합니다.
– 모집기간: 2021년 1월 27일 ~ 1월 31일
– 인원: 1명
– 계약기간: 2021.3.1부터 1년 단위로 재계약
– 연구분야: 생태 비평, 기술 비평, 생태 기술 비평
– 지원 자격:
1) 사립학교 교원임용 및 이화여자대학교 연구교수임용 규정에 결격 사유가 없는 자
2) 2021.2.28 기준 박사학위 소지자
– 제공사항:
1) 급여는 한국연구재단 중점연구소 사업 규정에 따름
3) 2인 1실 연구실 제공
– 의무사항:
1) 본 연구사업 관련하여 KCI급 논문 연간 2편 이상 출판
2) 본 연구사업 관련된 학술 발표, 학술 출판, 학술행사 진행 및 행정 업무(연차보고서 포함)
본 공개채용에 지원하고자 하는 분은 다음 서류를 제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1차심사
1) 이력서
2) 연구계획서: 아래 링크에 제시된 본 연구 주제(연구원 홈페이지 연구원 소개 확인)를 충분히 참조한 후에 작성하시기 바랍니다.
3) 연구소 발전 계획과 자신의 역할
4) 연구업적 목록: 최근 3년간(2018.1.1. ~ 2020.12.31.) 출간한 논문, 저서, 학술 발표 제목. 필요시 간략한 설명 추가.
5) 최근 3년간 대표 논문 2편
– 1-4번은 자유 양식으로 작성하고, 위 모든 문서를 2021.1.31 24:00 까지 행정실 메일 주소로 PDF 형식으로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 2차심사: 1차 심사 통과자에 한하여 학위 증명서 제출 후 면접(2월 3일 or 4일)
– 면접 일정은 1차 심사 후 개별 통보할 예정입니다.
* 이화인문과학원 홈페이지: http://eih.ewha.ac.kr
* 행정실 연락처: eih@ewha.ac.kr, 02-3277-6597
[학술대회 CFP] 포스트-트루스 시대의 인간과 정보공간(Infosphere)
인포스피어 휴머니티를 위한 정보철학 연구단이 포스트휴먼 연구자 네트워크, 이화여대 이화인문과학원, 한양대 과학기술 윤리·법·정책센터)가 공동으로 주최하는 학술대회를 안내합니다. 학술대회는 2021년 2월 20일 1시 30분 ~ 6시 사이에 열릴 예정이며, 상황이 허락하면 오프라인으로 열리겠지만, 현재 상황으로는 zoom을 통한 온라인 개최가 예상됩니다.
1월 23일까지 논문 발표 신청을 접수하며, 1월말에 최종 프로그램이 확정될 예정입니다. 많은 분들의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2021년 학술대회 발표초록 모집 공고(Call For Abstracts)
포스트–트루스 시대의 인간과 정보공간(Infosphere)
주제어: 정보, 의미(지향성), 코드, 알고리듬, 인지, 지식, Post-truth, 인간, AI, 포스트휴머니즘
우리가 정보의 홍수 속에 살고 있다는 말은 이젠 너무도 진부하게 들립니다. 이런 시대일수록 정보를 잘 가려 뽑고 통합하여 지식과 지혜를 얻으려 노력해야 한다는 말도 당연한 상식처럼 들립니다. 하지만 정보 가치의 핵심으로 간주되던 진리성과 정보의 연결이 느슨해지면서, 우리는 어느덧 ‘거짓 정보’라는 형용모순에 익숙해져 버렸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포스트-트루스 시대의 맥락에서 정보의 여러 측면을 치밀하게 재검토하는 작업의 학술적 시급함을 절실하게 느끼게 됩니다. <인포스피어 휴머니티를 위한 정보철학 연구단>은 이 시급함에 주목하여 정보와 의미, 진리 사이의 관계를 인간과 (포스트)휴머니즘의 관점에서, 특히 인간이 정보에 둘러싸여 활동하는 정보공간(Infosphere)을 분석하기 위한 학술대회를 준비했습니다. 정보는 그 특성상 필연적으로 학제적 주제일 수밖에 없으며, 그에 대한 연구결과물은 초학제적 성격을 갖추게 될 수도 있습니다. 정보와 인간의 관계맺음에 주목하는 다양한 분야 학자제현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 주관: 인포스피어 휴머니티를 위한 정보철학 연구단 (연구재단 일반공동연구)
- 공동개최: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인문과학원, 포스트휴먼연구자네트워크, HY CELPST(과학기술 윤리·법·정책센터)
- 후원: 한국연구재단, 이화여자대학교, 한양대학교
- 일시: 2021년 2월 20일 오후 1시 30분 ~ 6시 예정
- 장소: ZOOM 온라인 예정 (상황이 허락하면 오프라인)
형식: A4 1쪽 이내
제출처: 유지희(jhyou@ewhain.net)
초록 제출기한: 2021년 1월 23일(토)
소정의 심사를 거쳐서 최종 결과는 1월 말까지 개별 통보.
—————-
프로그램 초안
(발표 25분 / 토론 15분)
기조발제: 이중원(한국철학회회장)
세션 1: Post-truth
– 알고리듬, AI, 지식, 소셜미디어, 정보공간
세션 2: 인간
– 포스트휴머니즘, 정보공간, 예술, 문화, 문학
세션 3: 정보
– 정보, 의미, 진리, 정보공간, 정보철학
* 세션 발표 예정: 김재희(을지대), 송은주(이화여대), 이상욱(한양대), 홍성욱(서울대)
– 자세한 프로그램은 추후 공지
[국제학술대회] Rethinking Human/Nature in Hyper-Connected Society 초연결사회, 인간/본성(자연)의 재사유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에서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소지원사업의 일환으로 국제 학술대회 “초연결사회, 인간/자연(본성)의 재사유”를 개최합니다.
인공지능, 사물/만물 인터넷, 빅데이터 등 정보 기술이 발달하고 그에 바탕한 디지털 문화가 보편화된 이 시대를 가리켜 “초연결시대”라 합니다.
예전부터 모든 인간과 사회는 서로 연결되어 있었습니다. 그러나 이제 연결은 단지 개인, 집단, 문화, 국가 사이의 것만이 아닙니다. 인간과 동물, 행성, 기계와 같은 비인간 사이 그리고 비인간과 비인간 사이의 것이기도 합니다.
이렇듯 다양하고 이질적인 존재물의 연결(connection)에 놓인 인간을 재사유하고, 그로부터 인간, 자연, 사물의 공존(coexistence)의 가능성을 모색해 보고자 합니다.
이번 학술대회는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를 준수하기 위해 Zoom 화상 회의로 개최됩니다.
September 19, 2020, 10:00-16:00 (local time, UTC/GMT +9)
Zoom ID : 981 6941 7910
Zoom link : https://kangwon-ac-kr.zoom.us/j/98169417910
Program
10:00 – 10:10 Opening Ceremony
Opening Address: Nam, Eui-hyeon (Director, Humanities Institut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남의현 (강원대 인문과학연구소장)
Congratulatory Address: Cho, Sae-youn (Dean, College of Humanities, KNU) 조세연 (강원대 인문대학장)
Session I
1. 10:10 – 11:10
Covid19, Hyperconnectivity and Posthuman Awareness
코로나19, 초연결성 그리고 포스트휴먼 자각
– Francesca Ferrando (NYU) 프란체스카 페란도 (뉴욕대)
Discussion: Jeesun Rhee (KNU) 이지선 (강원대)
2. 11:10 – 12:10
Thought Analysis and Its Significance to the Hyperconnective Society
사고 분석, 그리고 초연결사회에서의 그 의미
– 潘天群 Tianqun Pan (Nanjing University) 티안췬 판 (난징대)
Discussion: Young E. Rhee (Korea University) 이영의 (고려대)
12:10 – 13:00 Lunch Break
Session II
3. 13:00 – 14:00
Between Hype and Hyperobjects: Rethinking Nature (or Media) in Hyperconnected Society
과장과 초과객체 사이에서: 초연결사회 속에서 자연을 (즉 미디어를) 재사유하기
– Kwak, Yung Bin (Yonsei University) 곽영빈 (연세대)
Discussion: Chung, Lak-Kil (KNU) 정락길 (강원대)
4. 14:00 – 15:00
Nietzschean Analysis of the Identity between Phono Sapiens as Digital Human and Homo Sapiens as Thinking Human
디지털 인류 포노 사피엔스와 생각하는 인류 호모 사피엔스 사이 인간의 정체성에 대한 니체적 분석
– Kim Sun-Hye (KNU) 김선희 (강원대)
Discussion: Lee Sangbum (Wonkwang University) 이상범 (원광대)
Session III
5. 15:10 – 15:50
General Discussion
6. 15:50 – 16:00
Closing Ceremony
Organized by Humanities Institut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Sponsored by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웨비나] 포스트 코로나 인간-동물관계: 생태정치와 실천
본 연구팀은 인간-자연, 인간-동물의 이분법적이고 위계적인 관계와 규범을 넘어 “공존”과 “얽힘”의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해 인문학(문학), 사회과학(사회학, 인류학), 자연과학(수의학, 생태학, 행동학) 연구자들로 구성된 융합연구 네트워크입니다.
포스트휴먼적 문제의식을 적극적으로 반영하여 기존의 인간중심적 동물 연구, 혹은 인간-동물 연구를 넘어 새로운 이론적 기반과 연구의 틀을 개발하고자 합니다.
그리하여 최근 발생한 ‘코로나19 팬데믹(COVID-19 pandemic)’에 관한 인간동물관계 측면의 핵심 쟁점을 정리해보고 새롭게 드러났거나, 드러날 문제에 대해 함께 정리하고 생각을 나누는 자리를 마련하였습니다.
다양한 분야에서 많은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 1~4차 연속 웨비나: 6월 26일~7월 17일 (매주 금요일 오후 3시)
* 웨비나 Zoom 회의 ID: 975 9129 8091 (주소: https://snu-ac-kr.zoom.us/j/97591298091)
* 문의 02-880-1198, jsa321@snu.ac.kr
-본 행사는 2019년도 정부(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일반공동연구지원사업-융복합연구 “위계에서 얽힘으로: 포스트휴먼시대의 인간-동물관계(2019S1A5A2A03047987)”의 일환으로 진행됩니다.
[웨비나] 포스트 코로나 인간-동물관계: 질병과 산업을 중심으로
본 연구팀은 인간-자연, 인간-동물의 이분법적이고 위계적인 관계와 규범을 넘어 “공존”과 “얽힘”의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해 인문학(문학), 사회과학(사회학, 인류학), 자연과학(수의학, 생태학, 행동학) 연구자들로 구성된 융합연구 네트워크입니다.
포스트휴먼적 문제의식을 적극적으로 반영하여 기존의 인간중심적 동물 연구, 혹은 인간-동물 연구를 넘어 새로운 이론적 기반과 연구의 틀을 개발하고자 합니다.
그리하여 최근 발생한 ‘코로나19 팬데믹(COVID-19 pandemic)’에 관한 인간동물관계 측면의 핵심 쟁점을 정리해보고 새롭게 드러났거나, 드러날 문제에 대해 함께 정리하고 생각을 나누는 자리를 마련하였습니다.
다양한 분야에서 많은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 1~4차 연속 웨비나: 6월 26일~7월 17일 (매주 금요일 오후 3시)
* 웨비나 Zoom 회의 ID: 975 9129 8091 (주소: https://snu-ac-kr.zoom.us/j/97591298091)
* 문의 02-880-1198, jsa321@snu.ac.kr
-본 행사는 2019년도 정부(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일반공동연구지원사업-융복합연구 “위계에서 얽힘으로: 포스트휴먼시대의 인간-동물관계(2019S1A5A2A03047987)”의 일환으로 진행됩니다.
[웨비나] 인간과 동물의 ‘적절한 거리’
본 연구팀은 인간-자연, 인간-동물의 이분법적이고 위계적인 관계와 규범을 넘어 “공존”과 “얽힘”의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해 인문학(문학), 사회과학(사회학, 인류학), 자연과학(수의학, 생태학, 행동학) 연구자들로 구성된 융합연구 네트워크입니다.
포스트휴먼적 문제의식을 적극적으로 반영하여 기존의 인간중심적 동물 연구, 혹은 인간-동물 연구를 넘어 새로운 이론적 기반과 연구의 틀을 개발하고자 합니다.
그리하여 최근 발생한 ‘코로나19 팬데믹(COVID-19 pandemic)’에 관한 인간동물관계 측면의 핵심 쟁점을 정리해보고 새롭게 드러났거나, 드러날 문제에 대해 함께 정리하고 생각을 나누는 자리를 마련하였습니다.
다양한 분야에서 많은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 1~4차 연속 웨비나: 6월 26일~7월 17일 (매주 금요일 오후 3시)
* 웨비나 Zoom 회의 ID: 975 9129 8091 (주소: https://snu-ac-kr.zoom.us/j/97591298091)
* 문의 02-880-1198, jsa321@snu.ac.kr
-본 행사는 2019년도 정부(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일반공동연구지원사업-융복합연구 “위계에서 얽힘으로: 포스트휴먼시대의 인간-동물관계(2019S1A5A2A03047987)”의 일환으로 진행됩니다.
1st Beyond Humanism Forum
2020년 7월2일과 3일 양일 사이에 열리는 1st Beyond Humanism Forum 소식을 안내해드립니다. 7월초에 그리스의 Lesbos에서 개최될 예정이던 학술대회가 내년으로 연기되고, 올해는 온라인 포럼으로 진행하게 된 행사입니다. 7월 3일에는 한양대 철학과의 이상욱 교수님께서 Privacy in the Age of Pandemic 라는 발표를 합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행사 일정에 대한 새로운 업데이트는 http://beyondhumanism.org/ 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Post-Trans-Metahumanist Exchanges in Times of COVID-19 & the 10th Anniversary of the Metahumanist Manifesto
Featuring: Stelarc, James Hughes, Leo Igwe, Sang Wook Yi, Francesca Ferrando, Carmel Veisman, Yvonne Förster, Keoma Ferreira, Jaime del Val, Anna Markopoulou, Evi Sampanikou, Stefan Lorenz Sorgner, Jan Stasienko.
The 1st Beyond Humanism Forum is a metaglobal event with leading scholars, artists, and intellectuals from 5 continents (Australia, Africa, Asia, South and North America and Europe) and 11 countries (Nigeria, Brazil, South Korea, Australia, USA, Israel, Greece, Spain, Italy, Germany, Poland), who will talk about the impact of the pandemic crisis from a diversity of Post-Trans-Metahumanist perspectives, the Metahumanist Manifesto’s 10th anniversary, and further issues of contemporary relevance.
Critical exchanges across posthumanist, metahumanist and transhumanist approaches could provide a fruitful and urgent arena of debate around the challenges emerging, which concern fundamental rights and freedoms, privacy, the role of the body and a deep transformation of humanity and the planet amongst many others.
You can access the live stream via the Youtube channel “Posthumans go viral”, and participate in discussions using the chat function available:
· YOUTUBE LINK 2nd July: https://youtu.be/dFzMV_jXaaA
· YOUTUBE LINK 3rd July: https://youtu.be/urJcMzAZAew
Further information can be found on the Beyond Humanism Network site soon:
· http://beyondhumanism.org/beyond-humanism-forum
————-
This metacontinental online event is a branch of the Beyond Humanism Conference, which this year was going to happen in Lesbos, Greece for the third time, and has been postponed to the COVID-9 pandemic.
On a regular basis, we will have live digital events which will be streamed via Youtube, Facebook, and twitter. You can follow us at the following channels. Please join us there, and please also join the discussion rooms in posthumans2021.slack.com. If you are interested in participating, please contact Prof. Evi Sampanikou e.sampanikou@gmail.com
Organizers: Jaime del Val, Evi Sampanikou, Stefan Lorenz Sorgner
Organizing committee: Anna Markopoulou, Sangkyu Shin, Chryssi Soteriades
—————-
PROGRAMME
1st Beyond Humanism Forum
2nd of July 2020:
YOUTUBE LINK: https://youtu.be/dFzMV_jXaaA
5.45 pm (CET) introduction with Jan Stasienko (Poland), Evi Sampanikou (Greece), Jaime del Val (Spain) and Stefan Lorenz Sorgner (Italy)
6 pm James Hughes (USA) – The Professional-Managerial Class and the Politicization of Science
6.30 pm Francesca Ferrando (USA) in dialogue with Jaime del Val (Spain) and Evi Sampanikou (Greece): Post-trans-metahumanisms and COVID-19, differences, antagonisms and relations? & BOOK presentations
7 pm Leo Igwe (Nigeria) & Keoma Ferreira Antonio (Brazil)- Posthuman Perspectives on Covid-19 from Africa and Latin America
7.30 pm Metahumanism Discussion – with Jaime del Val (Spain) and Stefan Lorenz Sorgner (Italy) – Metahumanist Manifesto 10 years/10paragraphs (including Multiversal Declaration of Metahuman Rights, for a Planetary Health by Jaime del Val)
8-9 pm Open discussion between speakers and with audience including Anna Markopoulou Privacy or Freedom? Political and Philosophical implications of the dilemma (Greece)
3rd of July 2020:
YOUTUBE LINK: https://youtu.be/urJcMzAZAew
11.45 am (CET) – Introduction with Evi Sampanikou (Greece), Jaime del Val (Spain) and Stefan Lorenz Sorgner (Italy)
12 pm – Stelarc (Australia) – Inverse Desires: Split Bodies, Fractal Flesh and Phantom Glitches
12.30 pm – Sang Wook Yi (South Korea) – Privacy in the Age of Pandemic
1 pm Carmel Vaisman (Israel) – The Zoomification of our lives
1’30 pm Open discussion between speakers and with audience including Yvonne Foerster (Germany)
2’30-3 pm Performance by Jaime del Val (Spain)
4-5’30pm workshop with Jaime del Val – Body Intelligence in times of autonomous algorithms – upon separate inscription here: metabody@metabody.eu
General moderation: Chryssi Soteriades (Greece),
Discussion and technical moderation: Chryssi Soteriades (Greece), Anna Markopoulou (Greece), Evi Sampanikou (Greece), Jaime del Val (Spain) and Stefan Lorenz Sorgner (Italy)
SPECIAL ANNOUNCEMENTS:
· STELARC‘S new Reclining StickMan project and performance: currently exhibiting in Adelaide and accessible for online interaction here recliningstickman.stelarc.org– (only during gallery hours in Adelaide 10am-5pm CET+8) – Images and videos of he project and performance in the website – The performance on the robot was for 5 hours continuously. The artist was able to initiate limb motions with the pneumatic joysticks and improvise with local and remote people who could insert their own movements.
· METAHUMANIST MANIFESTO 10th ANNIVERSARY: Workshops, talks and performances in Metabody – https://metabody.eu/imf-2020/ – Inscription for the Forum workshop online 3rd July at 4-5’30pm with Jaime del Val – Body Intelligence in times of autonomous algorithms – here: metabody@metabody.eu
· Posthumans go Viral – Channel – https://www.youtube.com/channel/UC6jO-KdbkU2v2h0CxiyTyHg
7 TRANSVERSAL THEMATIC THREADS:
1. Post-trans-meta-humanisms and COVID-19
· Are the mass media narratives concerning the pandemic mainly humanistic ones?
· Is transhumanism radically affirming itself through the pandemic, given the fact that technology corporations and the reliance upon their technologies are affirming themselves in unprecedented manner?
· What is the place for a critical posthumanistic chance for an awareness of our entanglement with others and the planet, vulnerability and alignments for a paradigm shift that exceeds humanism?
· What can metahumanism provide in terms of a deeper insight into embodied practices for a change in sensitivity?
2. Surveillance, control and transhumanism
· Is it justified to increase surveillance for the sake of health? Which are the options? Privacy vs. freedom. Can they be separated?
· Ethics of algorithms
· Autonomous algorithms and big data ethics
· Use of emotions by power
·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sovereign necropolitics (administration of death), disciplinary biopolitics (enclosures and optimization of life), and control ontopolitics (digital preemption) in the pandemic and (how) are all of them being reinforced?
3. Planetary health, entangled becomings and critical posthumanism
· How to promote plurality, justice and a planetary health in times of the pandemic.
· Environmental Ethics and the climate crisis. The environmental parameter.
· Awareness of entanglement with each other and the planet, and what to do about it.
· Evolution as cooperation and viruses as foundational of biodiversity.
· Pandemic outbreak and environmental disruption.
4. Embodied experience and the metahumanistic turn
· How do digital interfaces in confinement affect embodied experiences, affects or cognition?
· Embodied cognitive approaches to how digital interfaces orient experience.
· How to have richer embodiments in time of social distance.
5. Meta-relating in times of COVID-19 (conferencing, working, learning, consuming, prosuming, from home)
· How to create an online field, an embodied online event, which one travels to?
· What does an online event miss with regard to a physical one and what to do about it?
· Can one do critical zooming? Or how to ontohack distant relations.
6. Metahumanist Manifesto – 10th anniversary
· 10 paragraphs – workshops, performances, alternative modes of thought, movement and perception – www.metahumanism.net
7. Metaglobal dialogues
· Both the pandemic, the technological revolution and posthuman discourses are evolving differently in diverse regions of the world. These differences expose numerous inequalities inherited from colonialism but also positive senses of diversity and plurality. With participants from Australia, Africa, Asia, South and North America and Europe we would like to account for both the problematic ways in which these processes propagate and the positive variations happening across regions whose division is inherited from a colonial past that can perhaps be redefined towards more plural metaglobal futures.
[웨비나] 팬데믹 상황에서 동물의 취약성
본 연구팀은 인간-자연, 인간-동물의 이분법적이고 위계적인 관계와 규범을 넘어 “공존”과 “얽힘”의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해 인문학(문학), 사회과학(사회학, 인류학), 자연과학(수의학, 생태학, 행동학) 연구자들로 구성된 융합연구 네트워크입니다.
포스트휴먼적 문제의식을 적극적으로 반영하여 기존의 인간중심적 동물 연구, 혹은 인간-동물 연구를 넘어 새로운 이론적 기반과 연구의 틀을 개발하고자 합니다.
그리하여 최근 발생한 ‘코로나19 팬데믹(COVID-19 pandemic)’에 관한 인간동물관계 측면의 핵심 쟁점을 정리해보고 새롭게 드러났거나, 드러날 문제에 대해 함께 정리하고 생각을 나누는 자리를 마련하였습니다.
다양한 분야에서 많은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 1~4차 연속 웨비나: 6월 26일~7월 17일 (매주 금요일 오후 3시)
* 1차 웨비나 Zoom 회의 ID: 975 9129 8091 (주소: https://snu-ac-kr.zoom.us/j/97591298091)
* 문의 02-880-1198, jsa321@snu.ac.kr
-본 행사는 2019년도 정부(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일반공동연구지원사업-융복합연구 “위계에서 얽힘으로: 포스트휴먼시대의 인간-동물관계(2019S1A5A2A03047987)”의 일환으로 진행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