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쓴이 보관물: gueni

AI윤리 인문정책 세미나 2

2023 경제인문사회연구회 AI윤리 인문정책연구과제팀의 제2회 정기 세미나가 7/1(토)에 개최됩니다. AI 윤리 문제에 관심이 있는 모든 시민, 연구자 분들을 환영합니다.

오프라인 현장 참가는 장소의 한계로 15명으로 선착순 제한하여 신청을 받습니다. 오프라인 참가 대상으로 선정이 되신 분께는 별도의 오프라인 참석 안내 메일을 발송합니다.

온라인 참가자는 제한 없이 신청받습니다. 온라인 참가자에게는 행사 전 줌 주소를 메일로 발송합니다. 줌 주소 받으시면 해당시간에 줌에 접속하시면 됩니다.

주제: 딥러닝의 근본적 한계와 극복 방안
연사: 최윤석(Texas A&M 교수)

시간: 7월 1일 토요일 15시~17시
장소: 서울 용산구 백범로99길 40 용산베르디움프렌즈 101동 지하1층 <서울시공익활동공간 삼각지>

참여방식: 무료, 온오프 양쪽 선택 후 신청
신청링크: https://docs.google.com/forms/d/e/1FAIpQLScU4P_VXDbs3rMkD7nyo1nKzPGGD4tpAzJ93w85_pwbaUQ16Q/viewform
혹은 동봉된 큐알코드 인식!
신청마감: 행사 하루 전 정오까지

문의: ai.ethics.philo@gmail.com

주최: 2023 경제인문사회연구회 AI윤리 인문정책연구과제팀, 서울대 AI연구원 인공지능 ELSI센터

AI 생태학 연구의 지향과 방향 – 연속 콜로키움

한국포스트휴먼연구회, 몸문화연구소 공동 콜로키움
< AI 생태학 연구의 지형과 방향 >
이광석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일시 | 2023.6.30.(금) 15:00-17:00
장소 |온오프라인 동시 진행 (Zoom ID: 311 765 7487)
건국대학교 몸문화연구소 세미나실(중장비실험동 411호)
문의 | kkbody@konkuk.ac.kr
주최 | 한국포스트휴먼연구회, 몸문화연구소
후원 | 건국대학교, 교육부, 한국연구재단

한국포스트휴먼연구회가 여러분을 콜로키움에 초대합니다. 이번 콜로키움의 발표자는 이광석 교수로, “AI 생태학 연구의 지형과 방향”이라는 제목의 특강을 들려줍니다. 발표자는 『디지털 폭식사회』 『피지털 코먼즈』 『디지털의 배신』과 같은 저술로도 우리에게 잘 알려진 학자입니다. 많이 참석하셔서 이 소중한 기회를 잘 활용하시고 토론에도 참여하시길 바랍니다. 아래는 특강의 간단한 개요입니다.

인공지능은 우리에게 효율과 편리의 축복을 약속하는 듯이 보입니다. 그렇지만 그 이면에서는 탈사물화와 탈실재화, 탈신체화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생태학적 관점에서 인공지능을 어떻게 평가할 수 있을까요? 이광석 교수의 특강은 이 질문에 대답하려는 시도입니다. 인공지능은 사회적 편향과 편견, 시민 데이터 포획, AI 하류노동, 에너지 소비, 희귀금속 채굴 등 인간계와 자연계의 여러 층위에서 많은 생태적 폭력을 야기하고 있습니다. 인간의 의식과 사유에 미칠 위험도 무시할 수가 없습니다. 이광석 교수는 ‘AI 생태학’을 통해서 우리를 이러한 위기의 현장에 초대하고, 머리를 맞대고 대안도 모색해 보자고 요청하고 있습니다.

[ ‘ChatGPT와 포스트휴머니즘’ 연속 콜로키움 일정 ]
8월 강원대 + 경희대 : ChatGPT와 관계맺기 – 치유와 치료
10월 숙명여대: ChatGPT, 인간-비인간 공동체에서 기계 의존성
8~10월 중앙대: ChatGTP, LLM 저작권 법학 전문가 초청 학술대회

AI윤리 인문정책 세미나

2023 경제인문사회연구회 AI윤리 인문정책연구과제팀의 제1회 정기 세미나가 6/19(월)에 개최됩니다. AI 윤리 문제에 관심이 있는 모든 시민, 연구자 분들을 환영합니다.

장소의 한계로 오프라인 현장 참가는 10명으로 선착순 제한하며 이 경우 별도 공지합니다. 온라인 참가자는 제한 없이 신청받습니다.

행사 전 줌 주소를 메일로 발송합니다. 인원 조기마감 공지가 따로 없다면 신청완료된 것으로 이해하시고 해당 장소, 시간에 참가하시면 됩니다.

주제: 대형언어모형은 어떤 존재인가? 지능, 행위성, 그리고 이해를 중심으로
연사: 천현득(서울대 과학학과 교수)

시간: 6월 19일 월요일 16시~18시
장소: 서울 용산구 백범로99길 40 용산베르디움프렌즈 101동 지하1층 <서울시공익활동공간 삼각지>

참여방식: 무료, 온오프 양쪽 선택 후 신청
신청링크:
신청마감: 행사 하루 전

문의: ai.ethics.philo@gmail.com

주최: 2023 경제인문사회연구회 AI윤리 인문정책연구과제팀, 서울대 AI연구원 인공지능 ELSI센터

보호된 글: 인류세와 ‘유토피아’, 디지털 폴리스 – 도시인문학연구소 제18회 국내학술대회

이 콘텐츠는 비밀번호로 보호되어 있습니다. 이 콘텐츠를 보려면 아래에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ChatGPT와 교육 : 위기인가, 기회인가? – ‘ChatGPT와 포스트휴머니즘’ 제1회 콜로키움

한국포스트휴먼연구회 2023년 연속 콜로키움
<ChatGPT와 포스트휴머니즘>

한국포스트휴머니즘연구회에서는 인공지능의 발전과 그 영향력이 확산되는 시대에 맞춰, 포스트휴머니즘 관점에서의 새로운 연구와 토론의 장을 마련하고자 합니다. 이러한 취지로 기획된 연속 콜로키움 <ChatGPT와 포스트휴머니즘>은 인공지능 대화 모델인 ChatGPT를 중심으로, 인간과 기술의 관계, 그리고 이를 둘러싼 사회, 문화,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변화와 도전을 짚어보고자 합니다. 인공지능 기술 발전과 함께 인간의 삶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그리고 이에 대한 미래 전망과 윤리적 고민들을 다룹니다.

제1회 콜로키움에서는 <ChatGPT와 교육: 위기인가, 기회인가?>를 주제로,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이 교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깊이 있는 논의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미디어 아티스트 최승준의 발표를 통해 AI 기술, 예술, 교육의 융합 가능성을 모색하며, 제주대 교수 노대원, 홍미선의 발표를 통해 ChatGPT의 출현에 따른 교육의 시사점을 살펴볼 것입니다.

이 콜로키움을 통해, 포스트휴먼 연구의 관점에서 우리 사회가 직면한 새로운 기술과 인간의 관계에 대한 비판적 사유와 창조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함께 논의하며 성장하는 뜻깊은 시간이 되길 기대합니다. (* ChatGPT(GPT-4)와 함께 작성한 글입니다.)

‘ChatGPT와 포스트휴머니즘’ 제1회 콜로키움
<ChatGPT와 교육 : 위기인가, 기회인가?>

• 일시 : 4월 14일(금) 오후 2시 ~ 4시 30분
• 장소 : 줌 온라인 미팅
https://us02web.zoom.us/my/iseri?pwd=QnVYMGh4S2RFc3VNcnV4VWxhK1Fidz09
(단축 URL: https://bit.ly/3M5XKpQ )
• 주관 : 제주대 지능소프트웨어교육연구소

< 일정표 >
사회자 : 정혜윤 (명지대)
2:00~2:10 인사 말씀. 김종갑 (한국포스트휴먼연구회 회장)
환영 인사. 조정원 (제주대 지능소프트웨어교육연구소 소장)
2:10~3:00 발표 1. AI 기술, 예술, 교육 – 최승준 (미디어 아티스트)
3:00~3:30 토론 1.
3:30~3:40 휴식
3:40~4:10 발표 2. ChatGPT와 교육 – 노대원, 홍미선 (제주대 지능소프트웨어교육연구소)
4:10~4:30 토론 2.

[ ‘ChatGPT와 포스트휴머니즘’ 콜로키움 일정 ]
6월 건국대 : 빅데이터와 지식
8월 강원대 + 경희대 : ChatGPT와 관계맺기 – 치유와 치료
10월 숙명여대: ChatGPT, 인간-비인간 공동체에서 기계 의존성
8~10월 중앙대: ChatGTP, LLM 저작권 법학 전문가 초청 학술대회

13th Beyond Humanism Conference (BHC) in Lesbos, Greece

13th Beyond Humanism Conference (BHC)

+  2nd Metahuman Futures Forum (MFF) (associated event)

Mytilini – Lesvos – Greece

3 – 7 July 2023 [Monday to Friday]

CRISES AND THE POSTHUMAN:

Post- Trans- and Metahumanist Reflections on Contemporary Challenges

Organising Committee: Evi Sampanikou, Stefan Lorenz Sorgner, Jan Stasienko, Jaime Del Val, Jelena Guga, Sangkyu Shin

The Topic:

Two years after the outbreak of the pandemic and the distance or hybridity it forced our lives into, the 13th Beyond Humanism Conference is taking place as a live event, returning to one of the crucial places for the development of the several Posthuman routes of thinking, the University of the Aegean, Mytilini, Greece. It was there where in the 2nd BHC in 2010 the Metahuman Manifesto was for the first time presented and an emphasis to the Audiovisual was given. It was also there in the 6th BHC in 2014 where the emphasis to the Political was underlined. It’s now, after the pandemic and the two online forums (2020 and 2021) plus the hybrid form 1st Methuman Futures Forum in September – October 2022, that we turn to a new, hybrid, but with an emphasis to the live presentations event underlining the need for new reflections and new ideas on the Posthuman.

In the context of the post-pandemic era that has risen, new challenges appear:

  • The challenge of the local vs the global: the glocalloglobal and other related term proposals.
  • New meanings with a negative content like Trash-human Unhancement (coined by Jaime del Val) as the reality underlying Transhuman Enhancement (Del Val 2022). (See also the MFF parallel CFP on this).
  • Reflections on the topic “Critical Posthumanism and Transhumanism: Antagonism or convergence?”, and the Metahumanist alternative. (See also the MFF parallel CFP on this).
  • The new meaning of Wellbeing: Wellbeing in contemporary society refers only to the health of the body and its importance was shrunken to a highly materialistic conception associated with consumerism patterns vs Wellbeing in ancient Greek philosophy (Plato, Aristotle, Epictetus). This philosophical Wellbeing offers a new meaning, entirely different and much broader than“a way of living” derived from and connected with a philosophy of existence via a non-anthropocentric notion of “Care of Self”, which is based to “going beyond the self” or at least to an exercise by which the self is situated in the cosmic totality and experiences itself as part of this cosmic totality (Hadot, P.(2022).Philosophy as a Way of Life.Ed. Wiley-Blackwell).
  • The new dimensions of suffering and the new abilities for its restriction, the new meaning of healing (Panacea [Therapy/Medicine]-Health [Health/Politics]: emphasis on the political dimension of Health, which has been “repelled” by modern societies, since the perception of a “normative” approach to health dominates. Under the same point of view, distinction between illness-disease.
  • The contemporary dimension of disability, transhuman enhancement and the problem of medicalization of disability, non-human disabilities (disability of animals and plants),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otherness, posthuman vulnerability and inclusiveness, social definition of disability and relational self, body with disabilities as bio-technological assemblage.
  • The development of a new ecological consciousness and the need for reciprocity among species and the natural environment: A new ecological consciousness through the concept of “symbiosis” in the context of a non-anthropocentric perspective, meaning a mutual cooperation between organisms, is very important and “the fittest is the one who helps someone else to survive. Contrast between “symbiotic” and “conflictual” concepts of nature, according to which “the fittest survives the struggle for existence» (Biehl J. (ed.). (1999). The Murray Bookchin Reader, Black Rose Books). Ethics of space: beyond geocentric ethical theories.
  • Hybridity and “Agentivity” (or Agency). Autonomous algorithms, AI and Big Data from critical perspectives.
  • Sustainability of academic research: Emphasis on the re-evaluation of academic philosophical, scientific, literature and artistic research from the point of view of Critical Posthumanism in such topics as:
    1. Re-evaluating the contribution of pre-modern and modern: Spinoza and Bergson, Heidegger,Russell and Habermas, Benjamin.
    2. Re-evaluating the relevance of postmodern thinking for Posthuman debates, e.g. Lyotard, Wittgenstein, Deleuze [and Guattari], Baudrillard,Virilio,Flusser, Foucault, Danto, e.t.c..
    3. Re-evaluating Marxist approaches for posthuman challenges, e.g. Gramsci, Adorno, Althusser, Horkheimer, Lukacs, Jameson and Harvey.
    4. Re-evaluating Phenomenological thought: Husserl, Merleau-Ponty.
    5. Re-evaluating epistemological questions of natural sciences: Jean Cavallies, Gaston Bachelard, Canguilhem, Kuhn.
    6. Re-evaluating the history of the beyond humanism movements, e.g. Darwin, Nietzsche, Russian Cosmism, Freud, Julian Huxley.
    7. Re-evaluating science: The contribution of mathematic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research and the vast possibilities opened by the writings of Marvin Minsky, Joseph Weizenbaum, Hans Moravec.
    8. Re-evaluating the arts and literature in the context of posthuman insights, e.g. contemporary art, science fiction, horror literature, bioart, digital arts, and the posthuman.
    9. Re-evaluating posthuman pop cultures, e.g. cinema, documentary, comics, TV and platform series,e.t.c.
    10. Re-evaluating posthuman performance arts, e.g. dance, theatre, performances, metaformances.
  • The new notion of Inclusiveness: Alternative forms of embodied thinking and thinking as movement, and practices to mobilize it. (See also the MFF parallel CFP on this).
  • Intercultural Understanding and the new Opening to Non-Western Cultures. Emphasis on non-western cultures, philosophies and religions (African culture, Buddhism).
  • The end of Eurocentrism and Angloamerican dominion and the turn to other continents: Asia, Africa, Central and South America, Australia, the Pacific, the Arctic: Inuits.
  • Protest, Politics, Violence and War in the new reality.The Human as a Menace and Virus to the Planet and Other Species. (See also the MFF parallel CFP on this).
  • Challenging the notion of Human Consciousness and its relation to the cognitive non-conscious, the material unconscious, or the subconscious. Biological Conscience and the notion of the Care of Self: This point could be developed through two approaches: A phenomenological approach of the Care of Self, which is an attempt to relearn how to see the world and to conquer a universal and cosmic vision, because of which we will be able to enter the position of the other and overcome individual detachment (Merleau-Ponty, M. (2002). Phenomenology of Perception, Routledge Classics, London and New York). Body Intelligence, proprioception and movement philosophy as proposed by Jaime del  Val are central to this question.
  • Mutual aid and evolution (see also the MFF parallel CFP on this): In the light of a sociological approach the notion of“Mutual aid”  developed by Piotr Kropotkin, which means “the biological principle of unity, precedes and determines all subsequent stages of group organization on the basis of the triptych: Mutual aid-Justice-Ethics. This triptych highlights the successive stages of an ascending sequence revealed to us by the study of the animal world and man. It constitutes an “organic necessity” such as is attested by the totality of the evolution of the animal kingdom, from its earliest stages (in the form of colonies of the most primitive organisms) to gradually our civilized human communities. Figuratively speaking, it is a “universal law of organic evolution” and therefore this triptych is rooted in man by the force of an instinct”. Quoted by Herbert Read, (1971) Anarchy and Order: Essays in Politics, Boston, Beacon Press, p. 97).
  • Power and Technology, AI, Science and the new Bioethics, ethics and politics of strong, weak and hybrid AI, algoricene as post-Anthropocene, race and gender studies and AI, automation and inequalities, data surveillance, posthuman feminism, and social movements in relation to data studies, biopolitics of health tracking and quantified self. Deep-learning and AI.
  • Undoing or challenging binary notions, Happiness disguising oppressive norms, and Non-Violence.
  • The Arts and the new Heritage. Art as Life and Vice Versa-Towards transformative arts of life?
  • New Media Arts and Posthuman Arts. A new opening to the Other? Or a reinstatement of human supremacy?  (See also the MFF parallel CFP on this).
  • Utopias and Dystopias nowadays.
  • Critical approaches to all meanings and nuances of «gender» as well as post-gender theories. (See also the MFF parallel CFP on this).
  • Critical approaches to Ontology, Ethics, Economy and Technology, such as:
    1. Critical approaches to trans-species ontologies and affects including companion species (The UoA in Lesvos is full of dogs that participate in the entire space and thus very adequate place for this reflection)
    2. Non-dualistic ontologies of becoming and post-, meta-, and transhumanism
    3. Ontological reflections of presocratic Ionian philosophers and their relationship to beyond humanism movements, including focus on philosophies of movement and becoming and their relation to metahumanism (a trip to ancient Ionia is proposed by some participants for after the conference, (info here: htpps://philomobile.cominfo@philomobile.com)
    4. Ethical code(s): Relational ethics versus liberal ethics of autonomy?
    5. Open discussions on potential red lines in the ethical and ontological discussion of technology.
    6. Dialectics between theory and technology.
    7. Economics and emerging technologies.
  • Critical approaches to Physics and History, such as:
    • Physics and natural sciences and their ‘objectivity’.
    • History and the notion of ‘progress’, e.g. non-progressive histories, personal history, oral histories, big history….

+ Associated /satellite event:

2nd Metahuman Futures Forum (MFF)

EARTH LIBERATION:

Undoing Human Supremacy and its Extinction Loop 

NOTE: The 2nd MFF will have its own CFP linked to the general CFP of the BHC. Both will run in parallel in the same spaces, see below for the MFF Cfp.

LINK: https://metabody.eu/2nd-metahuman-futures-forum/


Conference Information:

Abstract Submissions: till 30 May 2023 (no extension will be given). Please send to:

Evi Sampanikou:esampa@aegean.gr and

Jaime del Val: jaimedelval@metabody.eu

with Cc to: Nikoleta Gourgouli: nikolgourg@aegean.gr and

Anna Markopoulou: ann2mark@otenet.gr

IT IS IMPORTANT TO SEND ABSTRACT TO ALL + Please indicate whether it is for the BHC (Beyond Humanism Conference) or the MFF (Metahuman Futures Forum)

Accomodation: Information on University accommodation will appear online soon.

Conference fees: 70 euro (early bird)

100 euro (later)

(Bank Information will appear online soon)

SF 비평 세미나 – 시즌 4 : 스티븐 샤비로 <탈인지>

‘SF 비평 세미나’는 한국 대중서사의 현황을 분석하고 이론을 정립하기 위해 연구 노력을 기울여온 대중서사학회가 에코테크네 인문학 연구를 주도하는 이화인문과학원, 초학제적 포스트휴먼 연구를 선도하는 한국포스트휴먼연구회와 공동으로 기획하고 운영하는 SF 연구 모임입니다. SF의 시대에 SF의 장르 이론 및 비평 담론, 글로벌/한국 SF 텍스트, SF와 대중문화, SF와 사회문화-과학기술을 두루 깊이 공부하기 위한 세미나입니다. SF에 관심 있는 분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 기 획 : 대중서사학회, 이화인문과학원, 한국포스트휴먼연구회
■ 텍스트 : 스티븐 샤비로, 안호성 역, <탈인지>, 갈무리, 2022.
■ 시 간 : 매월 2주차 토요일 오전 11시
■ 장 소 : 줌 온라인 미팅
(인증(로그인)된 사용자만 참여 가능. 사전에 줌 회원 (무료) 가입 필요.)
줌 회의 ID: 523 795 7825
https://us02web.zoom.us/j/5237957825

< 세미나 일정 및 발제자 >
1회. 3월 11일 토
서문, 1장 : 이지용 / 2장 : 김사영
2회. 4월 8일 토
3장 : 연남경 / 4장 : 최미진 / 5장 : 류수연
3회. 5월 13일 토
6장 : 김성연 / 7장 : 전지니
4회. 6월 10일 토 (예정) : 작가와의 대화

* 문의 : 노대원 (email : novel at jejunu.ac.kr)


<탈인지> 책 소개 (알라딘)
식물과 아메바는 생각하는가? 우리가 지능적인 외계인을 만난다면, 우리는 그들이 우리에게 말하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까? 토머스 네이글의 유명한 질문처럼, 박쥐가 된다는 것은 어떠한 것인가? 의식하고, 생각하고, 느끼고, 알고 있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철학자들과 과학자들은 여전히 이러한 의문들에 답하지 못한다. 궁지에 처한 우리에게는 SF(과학소설)가 일종의 사고 실험으로 작용하면서 이러한 의문들을 탐구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이 책은 말한다.
『탈인지』에서 스티븐 샤비로는 인간과 외계인의 감수성에 관한 급진적 가능성을 탐구하는 SF를 살펴본다. 샤비로는 SF를 통해 과학과 심리철학에 이미 존재하는 연구 프로그램과 기술의 잠재적인 함의를 추적한다. 그는 서사들이 스스로 제시하는 것들을 의심스럽게 보거나 비판하기보다 서사를 따라가면서 외삽한다. 그는 한편으로 환원주의자와 제거주의자의 논리를 따르는 소설의 귀결을 탐구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확장적이라고 불릴 수 있는 범심론자의 논리를 따르는 소설의 귀결을 탐구한다. 샤비로는 다양한 정신과 자아의 가능성을 시사하고 그것들이 각각 자신의 자리를 가질 수 있는 넓은 철학적 틀을 제시하면서 자신의 화이트헤드주의적 인과성 이론을 다듬어 나간다. 철학과 SF를 매개하며 다양한 분야를 넘나드는 이 책은 만약 현실로 존재한다면 극도로 위험하고 고통스러울지도 모르는 상황에 대리적으로 응할 수 있는 연습의 기회를 제공한다.

AI자동화 사회, 창의성 교육 (교양교육 심포지엄)

을지대학교 제5회 EU 교양교육 심포지엄을 안내해 드립니다.

주제 : AI자동화 사회, 창의성 교육
일시 : 2023년 1월 30일 (월) 14:00-17:00
장소 : 온라인 화상 회의실 (ZOOM)
회의 ID : 844 9735 7289 / PW : 8MhYBK

한국포스트휴먼연구회 창립 학술대회 – 포스트휴먼 시대의 기술과 예술 (3차 공지)

한국 포스트휴먼 연구자 네트워크가 ‘한국포스트휴먼연구회’를 창립하면서 첫 번째 학술대회를 개최합니다. 포스트휴먼 시대를 살아가는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참여 바랍니다!

주제 : 포스트휴먼 시대의 기술과 예술
1부 : 포스트휴먼 사상가로서의 브뤼노 라투르
2부 : AI, 기술에서 예술로
3부 : 창립 총회

일시 : 2022.11.19.토 오후 1시-6시
장소 : 오프라인) 이화여대 포스코관 B161
온라인) 줌 https://ewha.zoom.us/j/94721956390
공동 주최 : 이화여대 이화인문과학원, 건국대 몸문화연구소, 한양대 HY과학기술윤리법정책센터, 숙명여대 숙명인문학연구소(HK), 서울대 과학기술과미래연구센터
후원 : 한국연구재단

프로그램 >

1:00-1:15 개회 – 사회 : 신상규(이화여대)
1:15-2:00 기조 강연  강금실 : 포스트휴먼과 지구 패러다임

1부: 포스트휴먼 사상가로서의 브뤼노 라투르
– 사회 및 좌장 : 박인찬(숙명여대)
2:00-2:45 홍성욱(서울대) : 라투르와 포스트휴먼 가이아 – 임계 영역의 과학과 예술
토론 : 임연경(이화여대)
2:45-3:30 이상욱(한양대) : 브뤼노 라투르, 비인간 행위자와 연대하기
토론 : 김운하(건국대)
3:30-3:45 휴식

2부: AI, 기술에서 예술로
– 사회 및 좌장 : 노대원(제주대)
3:45-4:30 오영진(연세대), 이재원(스튜디오 전산실) : [렉처 퍼포먼스] 인공지능의 기괴함과 함께 살기
4:30-5:15 신원백(러봇랩) : 인공지능과 미디어 아트
토론 : 이재준(숙명여대)
5:15-6:00 남주한(카이스트) : 음악 창작 AI 기술의 현재 및 이슈
토론 : 정혜윤(명지대)
6:00-6:30 총회 및 폐회 – 사회 : 신상규(이화여대)

창립 취지문

한국포스트휴먼연구회(Korean Society for Posthuman Studies)는 국내에서 포스트휴먼학을 연구하는 다양한 학문 분야 연구자들의 구심점을 마련하고, 장기적으로 지속가능한 포스트휴먼학의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해 학회의 형태로 첫 발자국을 떼게 되었습니다. 이미 지난 2019년, 포스트휴머니즘 연구에 참여하거나 관심을 갖고 있는 연구자들의 학술적 장을 만들기 위해 한국 포스트휴먼 연구자 네트워크가 설립된 바 있습니다. 2022년 현재 한국포스트휴먼연구회는 기존 포스트휴먼 연구자 네트워크의 의의를 이어가면서, 일관된 조직력과 방향성을 갖추고 포스트휴먼 연구(posthuman studies)의 비판적 담론장의 기틀을 마련하고자 합니다. 학회 설립을 통해 철학이나 문학과 같은 인문학, 예술, 자연과학, 기술과학, 생태학, 과학기술학 등의 연구가 시의성 있고 유의미하게 만날 수 있는 학제적 융합연구를 시도하고자 합니다.

주지하다시피 최근 빠른 속도로 재편성되고 있는 과학, 기술, 사회적 조건 하에서 포스트휴먼 연구는 인간과 비인간 주체의 의미를 새롭게 정의하거나 재해석을 해야 할 필요성에 직면해 있습니다. 한국포스트휴먼연구회는 이러한 긴박한 요구에 응답하면서, 인간 주체와 과학기술, 시시각각 변해가는 물질적 조건들에 연루된 인간과 포스트휴먼 주체의 관계망과 변화 양상을 면밀히 추적 해나가고자 합니다. 동시에 이러한 변화 양상을 학제간 대화를 통해 새롭게 조명해나가고 통합적으로 이해하고자 합니다. 더욱이 지난 3년여간 지속된 코로나19 팬데믹 시대를 관통하면서 우리는 인간과 (기계, 동물, 식물 등의) 비인간 주체의 뒤엉킴과, 생명권 안에서의 공존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그렇기에 한국포스트휴먼연구회는 윤리적이면서 실천적 차원에서 포스트휴먼 연구란 어떤 식의 해석틀과 대안이 가능한지, 전지구적 규모로 환경과 기술과 생명을 성찰하는 일의 의의를 모색하고자 합니다. 이를 위해 유기적 자연물, 인공지능, 정보기술, 생명과학, 보철학(prosthetics) 등의 첨단 기술과 전통적 의미의 인문학과 예술, 교육 등이 교차하는 지점들을 지속적으로 탐구해나갈 것입니다.

포스트휴먼적 공생의 윤리, 노동과 유희 – 건대, 이대 공동 학술대회

건국대학교 몸문화연구소 &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인문과학원 공동학술대회

주제 : 포스트휴먼적 공생의 윤리, 노동과 유희
일시 : 2022년 11월 11일(금), 14:00~17:00
장소 : 온라인 스트리밍 (Zoom ID: 606 562 5696)

내용

14:00~14:10 인사말 함동주(이화인문과학원 원장), 김종갑(몸문화연구소 소장)
제1부 (사회: 김애령(이화여대))
14:10~14:50 발표1 “여성과 비인간의 이야기하는 몸: 해석될 권리와 번역할 의무” 박신현(건국대)
토론1 송은주(이화여대)
14:50~15:30 발표2 “노동, 유희, 공존” 이찬웅(이화여대)
토론2 윤지영(창원대)
15:30~15:40 휴식
제2부 (사회: 송태현(이화여대))
15:40~16:20 발표3 “외계인(과)의 생태학: 재마법화와 공색적 실재 – 천선란의 SF를 중심으로” 임지연(건국대)
토론3 오윤호(이화여대)
16:20~17:00 발표4 “노동과 예술 문제 – 다이쇼 시기 『민중예술론』 수용을 중심으로” 김병진(이화여대)
토론4 이지용(건국대)
17:00 폐회